메이트런(Matron) 프로그램은 3교대 근무표를 생성하기 위해 AutoSchedule365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수간호사 전용 프로그램입니다.
□ www.autoschedule365.com 사이트
▸ 회원 가입 및 메이트런(Matron) 프로그램 다운로드
▸ 신청 근무 등록
▸ 근무표 조회 및 공유
□ 메이트런(Matron) 프로그램
▸ 근무표 생성을 위한 정보 입력 (근무코드, 근무자 정보 등)
▸ 신청 근무 접수 관리
▸ 근무표 자동 생성
도움말에서 메뉴, 화면, 항목을 다음과 같이 표기합니다.
▸ [메뉴] : 메뉴 및 기능은 대괄호로 표기
▸ <화면> : 화면, 팝업창은 꺽쇠괄호로 표기
▸ 항목 : 화면에 표시되는 항목은 밑줄 표기
메이트런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로그인> 화면이 나타납니다.
AutoSchedule365 사이트(http://www.autoschedule365.com/)에서 가입한 아이디(이메일)와 비밀번호를 입력한 뒤 [접속]을 클릭하면 메이트런 화면이 나타납니다.
▸ [회원가입]을 클릭하면 AutoSchedule365 사이트의 회원가입 페이지가 나타납니다.
▸ [접속]를 클릭하면 메이트런 화면이 나타납니다.
▸ [닫기]를 클릭하면 프로그램을 종료합니다.
□ 접속 오류
▸ 접속에 문제가 있는 경우 <오류> 화면이 나타납니다.
위 화면이 나타나면 아래 문제를 확인해 주세요.
- 인터넷 연결 문제 → 인터넷 접속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
- 방화벽 문제 → www.autoschedule365.com 사이트가 방화벽 차단되었는지 확인
- 서비스 문제 → 프로그램 장애 신고 (matron@kaiem.co.kr, 070-8028-8903)
□ 서버 점검
▸ 서버 점검 중인 경우 <점검> 화면이 나타납니다.
점검 시간 이후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프로그램 업데이트
▸ 설치 이후 프로그램이 새로 배포된 경우 <업데이트> 화면이 나타납니다.
▸ 자동 업데이트 클릭 후 진행이 완료되면 사용해 주세요.
메이트런 화면은 4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① 메뉴
▸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메뉴 영역입니다.
② 주 영역
▸ [근무표 정보 - 근무표 설정] 또는 [근무표 결과 - 근무표 확인] 메뉴 클릭시 해당 화면이 나타납니다.
▸ 나머지 메뉴에 대한 화면은 팝업으로 나타납니다.
③ 오류 목록
▸ 입력 정보에 대한 오류 및 경고 내용을 표시합니다. 오류/경고 내용을 더블 클릭하면 ②에 해당 화면이 나타나거나 팝업 화면이 나타납니다.
▸ 아래 그림과 같이 오류 목록이 숨겨진 상태일 때는 부분을 클릭하면 오류 목록이 보입니다.
④ 상태 표시줄
▸ 상태 표시줄은 접속 중인 아이디(이메일), 병동 명칭, 회원 유형, 실시간 검증 여부, 확대/축소 스크롤 바, 프로그램 버전, 네트워크 상태가 표시됩니다.
▸ 접속 중인 아이디(이메일) : 로그인할 때 입력한 아이디(이메일)가 표시됩니다.
▸ 병동 명칭 : 근무표 작성 대상 병동인 대표 병동의 명칭이 표시됩니다. 더블 클릭하면 <병동 목록> 화면이 나타납니다.
▸ 회원 유형 : 회원 유형은 무료회원, 유료회원, 기업회원으로 구분합니다. 더블 클릭하면 autoschedule365 사이트의 멤버십 화면이 나타납니다.
▸ 실시간 검증 : 입력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검증할지 여부를 설정합니다.
실시간 검증 체크를 해제하면 프로그램 상단에 입력 데이터 검증 버튼이 나타나며, F5 키를 입력하거나, 버튼을 클릭하면 입력 데이터 검증을 수행합니다.
실시간 검증 체크를 해제하면 팝업 화면에서 [적용] 및 [닫기] 버튼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확대/축소 스크롤 바 : <근무표 설정>, <근무표 확인> 화면 근무표의 글자 크기를 확대/축소할 수 있습니다.
▸ 프로그램 버전 : 프로그램의 버전이 표시됩니다.
▸ 네트워크 상태 : 프로그램의 네트워크 상태가 표시합니다. 네트워크 상태는 원활(), 다소 지연(
), 지연(
)으로 구분합니다.
불안정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재접속 메시지가 반복적으로 표시되는 경우, 네트워크 상태를 더블 클릭하여 표시를 끌 수 있습니다.
메뉴 |
화면 |
내용 |
프로그램 |
공지 사항 |
프로그램 업데이트 및 사이트 공지사항 조회 |
종료 |
메이트런 프로그램 종료 |
|
기초 정보 |
근무코드 |
병원 근무코드 입력 |
공휴일 |
공휴일 입력 |
|
근무자 정보 |
파트 |
파트 등록 (간호조무사, 호스피스 등으로 구분할 경우) |
근무자 |
근무자 정보 입력 |
|
관계 설정 |
근무자간 협력관계, 배제관계, 제약관계 입력 (선택) |
|
근무 패턴 |
근무 패턴 및 적용 시점 입력 (선택) |
|
근무표 정보 |
근무표 설정 |
신청 근무, 일자별 근무자 수 등 입력 및 근무표 생성 |
근무 조건 설정 |
주간 또는 월간 근무 조건 입력 (선택) |
|
기피 패턴 설정 |
기피 패턴 입력 (선택) |
|
구간 설정 |
구간별 전담 설정 (선택) |
|
근무표 옵션 |
근무표 고려사항 가중치 조정 (선택) |
|
근무표 결과 |
근무표 확인 |
생성된 근무표를 확인/수정/확정/공유/인쇄 |
신청 근무 관리 |
신청 근무 접수 |
신청 근무 접수/마감 상태 변경 |
신청 제한 |
일자별, 근무자별 신청 제한 수 설정 |
|
계정 연결 |
autoschedule365 사이트 계정 승인 |
|
병동 관리 |
병동 목록 |
관리 병동 목록 조회 |
병동 권한 요청 |
병동 권한 요청 |
|
병동 권한 요청 수락 |
병동 권한 요청 수락 |
|
도움말 |
메이트런 도움말 |
메이트런 프로그램 도움말 |
프로그램 정보 |
프로그램 버전 정보 |
|
멤버십 |
autoschedule365 사이트의 멤버십 화면 접속 |
|
AutoSchedule365 |
autoschedule365 사이트 접속 |
프로그램 사용 중 오류나 문제점을 발견하면 언제든지 저희에게 알려주십시오.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 AutoSchedule365 사이트 (http://www.autoschedule365.com/)
- [게시판 – 문의하기]에 관련 내용을 작성해 주세요. 가장 권장하는 방법이고 다른 회원들과 내용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 matron@kaiem.co.kr 이메일
- AutoSchedule365 사이트 접속에 문제가 있을 경우 이메일을 보내주세요.
▸ 메이트런 프로그램에서 의견 보내기
- [근무표 결과 - 근무표 확인] 메뉴를 클릭하여 화면 하단에 의견 보내기를 이용하세요.
▸ 070-8028-8903 전화
- 위 방법으로 진행하기에 너무 급한 경우는 전화 주십시오.
- 월요일 ~ 목요일 : 09:00 ~ 18:00 (휴게시간 11:45 ~ 13:00)
- 금요일 : 09:00 ~ 14:00 (휴게시간 11:45 ~ 13:00)
AutoSchedule365 회원 가입은 무료이고, 근무표 생성 프로그램은 유/무료 사용자를 구분하여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무료 사용자의 경우 제한된 기능 내에서 서비스 및 프로그램 사용이 가능합니다.
유료 사용자의 경우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고 라이선스 비용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구분 |
사용료 |
지급시기 |
비고 |
|
영구 사용 |
- 3억원 라이선스 도입 1년 후 병원별 |
계약 시 |
서비스 제공 불가시 병원 내 프로그램 사용할 수 있도록 환경 제공 |
|
1년 사용 (추천) |
병원 |
- 1년사용료 : 500 병상 이하 병상 수 X 11,000원 |
선불 |
HIRA 빅데이터개방포털 (전국 병의원 및 약국 현황) 기준 |
개인 |
- 1년 사용료 : 실 사용자 수 X 11,000원 |
선불 |
실 사용자 수는 병동 간호사, 간호조무사, 완화도우미 등 교대 근무자를 포함 |
|
1개월 사용 |
병원 |
- 1개월 사용료 : 실 사용자 수 X 3,000원 |
후불 |
|
개인 |
선불 |
서비스 도입을 위한 시범 운영을 3개월 무상 지원하고 있습니다.
계약 관련 문의는 matron@kaiem.co.kr로 메일을 보내주세요.
근무표 생성을 위해서는 근무자 및 근무표에 대한 정보를 입력해야 합니다. 여기서는 가장 기본적인 정보 입력으로 근무표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합니다.
로그인 후 맨 처음 <근무표 설정> 화면이 나타납니다.
① 근무자 정보를 입력 후 입력된 근무자에 대해 ②, ③, ④ 과정을 진행하면 됩니다.
[근무자 정보 - 근무자] 메뉴를 클릭합니다.
▸ 병동내 간호사, 간호조무사, 호스피스, 사원 등 교대 근무자의 수만큼 근무자를 추가합니다.
▸ 근무자별로 근무자의 숙련도를 전문가, 숙련가, 초보자로 구분하여 설정합니다.
▸ 차지 가능, 전담, 최대 연속 N수 및 최대 연속 근무일수를 설정합니다.
|
오버 멤버 |
|
|
|
|
오버 멤버는 아래 경우에 체크합니다. ▸ 신규 근무자가 트레이닝 기간 동안 오버 멤버로 투입되는 경우 ▸ 타 병동에서 부서 이동하여 적응 기간 동안 오버 멤버로 투입되는 경우 ▸ 수간호사를 근무자 수에서 제외하여 작성할 경우 |
[근무표 정보 - 근무표 설정] 메뉴를 클릭합니다.
▸ 병동 교대 근무자(간호사)가 회원 가입하여 근무 신청하기 전에는 수간호사께서 신청 오프를 입력해 주셔야 합니다.
▸ 신청 오프에 해당하는 근무 설정 칸에 값을 입력합니다. 예를 들어 3번째 근무자(간호사2)가 6월 14일에 오프를 신청했다면 해당 일자에 ‘/*’ 값을 입력합니다.
|
신청 오프(/*) vs 오프(/) |
|
|
|
|
오프 전날 나이트가 배정되는 것을 피하려면 오프(/) 대신 신청 오프(/*)로 입력합니다. 프로그램은 근무자가 신청(Request 또는 Wanted)한 오프와 수간호사가 지정한 오프를 구분합니다. 신청 오프는 * 문자로 구분합니다. 신청 오프(/*)로 입력했다면 전날 나이트를 배제하는 방향으로 근무표를 생성하지만 오프(/)는 전날 나이트 근무를 배정할 수 있습니다. 단, [근무표 정보 - 근무표 옵션]에서 신청 오프 전날 나이트 배제를 체크 해제한 경우는 신청 오프 전날 나이트 근무가 배정될 수 있습니다. |
[근무표 정보 - 근무표 설정] 아래에서 일자별 근무자 수를 설정합니다.
▸ 근무표 아래에서 일자별 근무자 수를 입력합니다.
▸ 을 클릭하면 팝업 창이 나타나고 1일부터 말일까지 근무자 수를 일괄로 채우는 [채우기] 기능을 제공합니다. 특정일에 근무자 수가 다를 경우 특정일의 값을 수정하시면 됩니다.
[근무표 정보 - 근무표 설정] 오른쪽에서 근무자별 근무 수를 설정합니다.
▸ 근무설정 오른쪽에서 근무자별 근무 수를 입력합니다.
▸ 을 클릭하면 팝업 창이 나타나고 근무자 수, 근무별 차지 가능 인원, 일자별 근무자 수를 고려하여 자동으로 채우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 일자별 근무자 수 기준을 선택 후 [채우기]를 클릭합니다.
|
일자별 근무자 수 vs 근무자별 근무 수 |
|
|
|
|
||
|
▸ 근무자별 근무 수 아래에 근무별 D,E,N 합계가 숫자로 표시됩니다. 이 합계는 [근무자 정보 – 근무자]에서 오버 멤버로 체크된 근무자의 근무 수를 제외한 값이고 마우스가 해당 영역에 위치하면 제외한 값과 포함한 값(괄호안의 수)을 같이 표시합니다. (좌측 이미지 참조)
▸ 근무자별 근무 수의 D,E,N 합계 아래에 일자별 근무자 수의 D,E,N 합계가 표시되는데 D,E,N별로 근무자별 근무 수의 합계가 일자별 근무자 수의 합계보다 크거나 같아야 합니다. |
이렇게 ①, ②, ③, ④번 차례로 입력하면 근무표 생성을 위한 입력을 마치게 됩니다.
이제 입력한 내용으로 근무표를 생성해 보겠습니다.
[근무표 정보 - 근무표 설정]에서 을 클릭합니다..
입력한 내용에 문제가 있을 경우 아래 오류/경고 목록에 해당 내용이 나타납니다.
을 클릭하면 <정보> 창이 나타납니다.
[확인]을 클릭합니다.
근무표 생성은 대략 30~40분 시간이 소요됩니다. (근무자 수가 많을수록 더 많은 시간 소요)
[근무표 결과 - 근무표 확인] 좌측 근무표 목록에서 근무표 생성이 진행되는 상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근무표 목록의 작업상태는 근무표가 생성 중일 경우 진척률( |
[근무표 결과 - 근무표 확인]에서 생성된 근무표를 확인합니다.
근무표는 생성할 때마다 화면 왼쪽 근무표 목록에 추가됩니다. 근무표 목록을 선택하면 선택한 근무표가 우측에 표시됩니다.
근무표 오른쪽에는 근무자별 근무 수가, 아래쪽에는 일자별 근무자 수가 표시됩니다. [근무표 정보 - 근무표 설정]에서 입력한 값보다 작을 경우 붉은색 배경으로, 클 경우 초록색 배경으로 표시되고 일치할 경우는 배경색을 강조하지 않습니다.
셀을 선택하여 생성된 근무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근무표 위쪽 을 클릭하면 근무표가 확정되어 다음달 근무표 작성시 반영됩니다.
근무표 위쪽 을 클릭하면 공유된 근무표를 www.autoschedule365.com 사이트에서 조회할 수 있습니다.
근무표를 생성한다는 것은, 몇 명이 근무하는지, 팀을 어떻게 구성할지, 신청한 오프가 몇 일인지, 일자별 근무자 수는 몇 명인지, 근무자별 근무 수는 몇 개인지 등의 정보를 메이트런(Matron) 프로그램에게 알려주어 근무표를 만들게 하는 것입니다.
입력 정보 |
메뉴 |
입력 횟수 |
비고 |
① 근무자 정보 입력 |
근무자 정보 - 근무자 |
1회 |
처음 1회 입력 후 변경 시 수정 |
② 신청 오프 입력 |
근무표 정보 - 근무표 설정 |
매월 |
매월 등록 (근무자가 입력) |
③ 일자별 근무자 수 설정 |
근무표 정보 - 근무표 설정 |
1회 |
처음 1회 입력 후 자동 입력됨. |
④ 근무자별 근무 수 설정 |
근무표 정보 - 근무표 설정 |
매월 |
신청 오프를 고려하여 매월 조정 (자동 입력 기능 제공) |
①~④ 과정 입력 후 근무표를 생성하고 공유하면 근무자와 근무표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
매월 변경되는 신청 오프를 반영하는 것을 제외하면, 처음 1회 입력 후에는 입력할 사항들이 거의 없어집니다.
프로그램은 입력된 내용을 최대한 만족시키는 결과를 도출하려고 하지만 부족한 결과를 얻을 수도 있습니다. 이럴 경우 [근무표 정보 - 근무표 옵션]에서 가중치를 조정하거나 [근무자 정보 - 관계 설정]에서 추가 설정을 하여 근무표를 다시 생성해 보시길 바랍니다.
근무표에 대한 상황은 병동마다 다르고, 동일 병동이라 할지라도 매월 조건이 다릅니다. 근무자에게 주어지는 오프 수가 적을 경우 좋은 결과를 얻기가 어렵습니다. 여러 입력 조건들은 서로 충돌하는 관계이기 때문에 모든 조건을 만족시키기는 어려우니 취사선택하셔야 합니다. 쉽지 않은 문제이지만 최대한 만족하는 결과를 얻기 바랍니다.
메이트런은 [프로그램], [기초 정보], [근무자 정보], [근무표 정보], [근무표 결과], [신청 근무 관리], [병동 관리], [도움말] 메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프로그램에 대한 [공지사항], [종료] 메뉴가 있습니다.
프로그램 업데이트 및 사이트 공지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 - 공지사항] 메뉴를 클릭
① 영역에 표시되는 제목을 선택하면 ② 영역에 공지 내용이 나옵니다.
팝업 화면 하단에 오늘 하루 열지 않기를 체크하면 하루 동안은 프로그램 시작시 <공지사항>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프로그램 - 종료] 메뉴를 클릭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프로그램을 종료할 것인지 묻는 화면이 나타나며, [예]를 선택하면 프로그램이 종료됩니다.
근무표 생성을 위한 기초 정보인 [근무코드], [공휴일] 정보를 설정하는 메뉴가 있습니다.
병원에서 사용하는 근무 코드를 등록하는 화면입니다.
[기초 정보 – 근무코드] 메뉴를 클릭
□ 항목 설명
그룹 |
근무코드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을 경우 사용합니다. 그룹에 값을 입력하면 동일한 값을 하나의 그룹으로 인식합니다. 그룹이 입력되면 [근무표 정보 – 근무표 설정]의 <근무 입력> 화면에서 근무코드를 입력 시 그룹이 표시되고 그룹을 선택하면 그룹으로 묶인 근무코드가 표시됩니다. |
근무코드 |
근무표에 표시되는 근무코드 근무코드는 최대 6자이며 중복된 값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
근무명 |
근무코드에 대한 명칭 |
근무유형 |
Day, Mid(Splint), Evening, Night, Off, Day like, Mid like, Evening like, Night like, Off like, Work like, DayEvening, EveningNight 로 구분 |
코드별칭 |
EMR에 등록하는 근무코드와 근무자들에게 보여주는 근무코드가 다를 경우 코드별칭을 정의합니다. 코드 별칭이 정의된 경우 [근무표 결과 - 근무표 확인]에 [근무 별칭으로 조회] 기능이 상단에 표시되며, [근무 별칭으로 조회] 클릭시 근무표가 별칭으로 표시되고, AutoSchedule365.com에서 근무표 조회시 근무별칭으로 조회가 가능합니다. |
자동생성 |
프로그램은 자동생성 항목이 체크된 근무코드에 대해서 근무표 생성 D, M, E, N, / 근무코드만 체크 가능합니다. |
입력표시 |
[근무표 정보 - 근무표 설정]의 [근무 입력 창]에 표시되는 근무코드 |
신청근무 |
AutoSchedule365에서 [근무 신청] 화면에서 신청할 수 있는 근무코드 |
신청제한(Off) |
신청 근무는 Off, Off외로 구분하여 제한하는 데, 신청제한(Off)가 체크된 근무코드는 Off 수 제한으로 처리하고 나머지는 Off외 수 제한으로 처리 |
병동근무 |
병동에서 수행하는 근무 병동 외 근무(외부교육, 연수, 조합활동 등)는 체크 해제합니다. “오프, 데이, 외부교육” 순으로 근무가 배정되는 경우 퐁당퐁당 근무로 인식하기 위한 항목입니다. |
색상 |
근무표에 표시되는 색상 |
미리보기 |
근무표에 표시되는 색상 미리보기 |
시작시간 |
근무 시작시간 |
종료시간 |
근무 종료시간 |
근무시간 |
근무코드의 근무시간 |
코드구분 |
근무코드를 시스템, 병원, 사용자로 구분합니다. 시스템 : 프로그램에서 정한 근무코드 병원 : 병원에서 등록한 근무코드 사용자 : 사용자가 입력한 근무코드 |
□ 기능 설명
▸ 위로
코드를 선택 후 [위로]를 클릭하면 선택한 코드의 순서가 위로 올라가서 표시됩니다.
▸ 아래로
코드를 선택 후 [아래로]를 클릭하면 선택한 코드의 순서가 아래로 내려가서 표시됩니다.
▸ 초기화
[초기화]를 클릭하면 코드구분이 “시스템”, “병원”에서 정한 근무코드로 초기화됩니다.
▸ 추가
근무코드를 새로 추가하려면 [추가]를 클릭 후 새로 생성된 행에 값을 입력합니다.
▸ 삭제
근무코드를 삭제하려면 해당 근무코드를 선택한 뒤 [삭제]를 클릭합니다.
단, 코드구분이 “시스템” 또는 “병원”인 근무코드는 삭제할 수 없습니다.
▸ 필터링
항목명 아래 입력란에 문자를 입력하면 입력된 문자를 포함한 내용만 보여주는 기능입니다. 아래 화면에서 빨간 네모 박스가 필터링 값을 입력하는 부분입니다.
이 화면에서 마우스 우클릭 메뉴는 아래와 같습니다.
▸ 색상 복사
선택한 근무코드의 색상을 복사합니다.
▸ 색상 붙여넣기
복사한 근무코드의 색상을 선택한 근무코드에 적용합니다.
▸ 코드별칭 일괄 입력
선택한 근무코드의 코드별칭을 일괄로 입력하는 화면이 나타납니다.
▸ 시스템(자동생성) 코드로 변경
자동생성으로 되어 있지 않은 근무코드를 자동생성 근무코드로 변경할 때 사용합니다.
근무유형이 Day, Mid, Evening, Night, Off이면서 코드구분이 시스템이 아닌 근무코드만 변경이 가능합니다.
▸ 3교대 근무코드 예시
구분 |
표시문자 |
시작~종료 시간 |
근무 시간 |
자동 생성 여부 |
데이 |
D |
07시 ~ 15시 |
8시간 |
○ |
이브닝 |
E |
15시 ~ 23시 |
8시간 |
○ |
나이트 |
N |
23시 ~ 07시(익일) |
8시간 |
○ |
오프 |
/ |
00시 ~ 24시 |
|
○ |
미드 |
M |
09시 ~ 18시 |
8시간 |
○ |
데이이브닝 |
DE |
07시 ~ 23시 |
16시간 |
X |
이브닝나이트 |
EN |
15시 ~ 07시(익일) |
16시간 |
X |
하프 |
H |
10시 ~ 14시 |
4시간 |
X |
교육 |
교 |
09시 ~ 18시 |
8시간 |
X |
연차 |
연 |
00시 ~ 24시 |
|
X |
없음 |
X |
00시 ~ 24시 |
|
X |
▸ 기본 근무 유형은 Day, Mid(Splint), Evening, Night, Off 5가지입니다.
▸ 기본 근무 유형과 비슷한 근무이기는 하나 근무 수를 기본 근무 유형에 합산하지 않는 근무를 유사 근무 유형으로 분류합니다. 기본 근무 유형 5가지에 대해 Day like, Mid like, Evening like, Night like, Off like 유형이 있습니다.
▸ 유사 근무 유형은 기피 패턴 체크시 기본 근무 유형과 동일하게 처리하지만 근무 코드 수 합산할 때는 해당 근무코드로 합산합니다.
▸ 유사 근무 유형 중 Work like로 분류하면 최대 연속 근무일수 체크시에만 근무로 처리합니다.
▸ DayEvening, EveningNight는 더블 근무 유형입니다.
▸ 다음 표는 근무코드가 어떻게 처리되는지에 대한 설명입니다.
- a 근무코드는 일자별 근무자 수, 근무자별 근무 수는 D로 합산되고 신청 근무는 D로 집계되고 기피 패턴 체크시 D로 처리되고 근무로 인식합니다.
- e 근무코드는 일자별 근무자 수, 근무자별 근무 수는 e로 합산되고 신청 근무는 e로 집게되나 기피 패턴 체크시 D로 처리되고 근무로 인식합니다.
근무코드 |
근무유형 |
일자별근무자수 |
근무자별근무수 |
신청근무 |
패턴 |
근무여부 |
a |
Day |
D |
D |
D |
D |
Y |
i |
Mid (Splint) |
M |
M |
M |
M |
Y |
b |
Evening |
E |
E |
E |
E |
Y |
c |
Night |
N |
N |
N |
N |
Y |
d |
Off(/) |
/ |
/ |
/ |
/ |
N |
e |
Day like |
e |
e |
e |
D |
Y |
f |
Evening like |
f |
f |
f |
E |
Y |
g |
Night like |
g |
g |
g |
N |
Y |
h |
Off like |
h |
h |
h |
/ |
N |
j |
Mid like |
j |
j |
j |
M |
Y |
k |
Work like |
k |
k |
k |
k |
Y |
매년 기본 휴일은 자동으로 등록됩니다. 불필요한 휴일을 삭제하거나 필요한 휴일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기초 정보 – 공휴일] 메뉴를 클릭
□
사용 여부 |
사용 여부가 체크된 휴일만 근무표에 적용 |
휴일명칭 |
휴일 명칭 |
반복 여부 |
매년 휴일로 반복 적용할 경우 체크 |
년 |
연도 |
월 |
월 |
일 |
일자 |
양력/음력 구분 |
양력, 음력 구분 |
윤달 여부 |
윤달일 경우 체크 |
휴일 구분 |
공휴일을 시스템, 사용자로 구분 시스템 : 시스템에서 정한 휴일 사용자 : 사용자가 입력한 휴일 |
항목 설명
□ 기능 설명
▸ 초기화
기준년의 공휴일을 시스템에서 정한 공휴일로 초기화합니다.
▸ 추가
공휴일을 추가합니다.
▸ 삭제
선택한 공휴일을 삭제합니다. 단, 휴일 구분이 “시스템”이면 삭제할 수 없습니다. 시스템에서 정한 공휴일을 적용하지 않을 경우 사용 여부를 체크 해제하시기 바랍니다.
근무자 생성을 위해 근무자 정보인 [파트], [근무자], [관계 설정], [근무 패턴] 메뉴가 있습니다.
병동 내에 여러 근무표 작성이 필요한 경우 파트로 구분합니다. 간호사 파트, 간호조무사 파트, 호스피스 파트 등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근무자 정보 – 파트] 메뉴를 클릭
□ 항목 설명
순번 |
파트와 근무자의 순번 파트와 숙련도를 아이콘으로 구분합니다.
|
명칭 |
파트는 파트명, 근무자는 근무자 이름 |
교대근무 유형 |
2교대, 3교대 구분 |
숙련도 |
전문가, 숙련가, 초보자 구분 |
□ 기능 설명
▸ 파트명 변경
을 클릭
아래 화면이 나타나면 새로운 명칭 입력 후 [적용]을 클릭합니다.
▸ 교대근무 유형 변경
을 클릭
아래 화면이 나타나면 새로운 교대근무 유형을 확인 후 [적용]을 클릭합니다.
▸ 추가
파트를 추가합니다.
▸ 삭제
선택된 파트를 삭제합니다.
파트에 근무자가 속해 있을 경우 근무자는 첫 번째 파트(기본 파트)로 이동되고 파트만 삭제합니다.
▸ 근무자 파트 이동시키는 방법
목록에서 마우스 Drag & Drop으로 근무자의 파트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 파트/근무자 순서 변경하는 방법
파트나 근무자를 선택하여 Drag & Drop으로 순서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근무자들을 선택한 상태에서 마우스 이동하면 놓인 대상 아래로 선택했던 근무자들이 이동합니다. 놓인 대상이 파트일 경우 파트의 첫번째로 이동됩니다.
파트와 근무자를 함께 선택할 경우에는 이동이 불가합니다.
파트, 팀, 관계 모두 비슷한 의미의 단어입니다만 메이트런에서는 다음과 같이 정의했습니다.
구분 |
설명 |
파트 |
간호사, 간호조무사, 완화도우미 등 담당 역할이 다른 근무자 그룹 ▸ 동일한 역할이어도 인원이 많아 독립적으로 운영할 경우도 파트로 정의 ▸ [근무자 정보 – 파트] 메뉴에서 파트 등록 ▸ [근무자 정보 - 관계 설정], [근무표 정보 – 근무표 옵션] 등은 파트별로 정의 |
팀 |
같은 역할을 담당하며 서로 업무를 지원할 수 있는 근무자 그룹 ▸ 간호조무사가 부족하여 간호사가 업무를 지원하는 경우 팀으로 정의 ▸ 숙련도를 기준 팀별 인원이 불균등할 경우는 명시적인 팀을 정의하는 것을 권장 |
관계 |
팀원 간의 협력/배제/제약에 따라 n:m 관계로 맺어지는 가상의 그룹 ▸ 숙련가이기는 하나 아직 초보자와 근무하는 게 걱정될 경우 ▸ 각 팀의 초보자 인원만으로 근무하는 것을 피하고자 할 경우 관계 설정 사용 ▸ 프리셉터-프리셉티 관계(1:1 관계)는 관계 설정이 아닌 프리셉터 설정 권장 |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 간호조무사, 호스피스 및 3교대 직원을 등록하고 근무자별 근무 상세 조건을 설정합니다.
[근무자 정보 – 근무자] 메뉴를 클릭
[근무표 정보 - 근무표 옵션]에서 월별 근무자/관계 설정/근무 조건을 체크했다면 아래와 같이 근무자 목록 / 월별 정보로 나뉜 <근무자> 화면이 나타납니다.
□ 항목 설명
파트 |
파트 선택 |
||||||||||||||||||
차지 구분 |
차지 가능 근무자의 근무별 / 팀별 배정 구분 |
||||||||||||||||||
순번 |
근무자 순서 |
||||||||||||||||||
숙련도 |
전문가, 숙련가, 초보자로 구분 |
||||||||||||||||||
팀 |
동일한 입력값을 같은 팀으로 처리 |
||||||||||||||||||
이름 |
근무자 이름 |
||||||||||||||||||
사번 |
근무자 사번 (EMR 연동시 사용) |
||||||||||||||||||
성별 |
근무자 남/여 구분 |
||||||||||||||||||
차지 가능(D) |
Day 근무 차지 가능할 경우 체크 |
||||||||||||||||||
차지 가능(E) |
Evening 근무 차지 가능할 경우 체크 |
||||||||||||||||||
차지 가능(N) |
Night 근무 차지 가능할 경우 체크 |
||||||||||||||||||
전담 |
근무자의 전담 근무를 설정
|
||||||||||||||||||
오버 멤버 (D) |
Day 근무 배정시 오버 멤버로 처리 |
||||||||||||||||||
오버 멤버 (E) |
Evening 근무 배정시 오버 멤버로 처리 |
||||||||||||||||||
오버 멤버 (N) |
Night 근무 배정시 오버 멤버로 처리 |
||||||||||||||||||
오버 멤버 (종료일) |
입력된 종료일까지 오버 멤버로 처리 |
||||||||||||||||||
시간 선택제 |
시간 선택제 근무자인 경우 체크 시간 선택제를 체크하면 주 근무 시간 추가 입력 주 근무 시간은 근무자별 근무 수, 잔여 오프 계산에 사용됩니다. |
||||||||||||||||||
프리셉터 |
프리셉티(Preceptee)에게 프리셉터(Preceptor)를 설정 |
||||||||||||||||||
동일 근무 우선 |
동일 근무 우선 배정은 오프 사이에 D,D,E,N,N과 같이 다양한 근무를 하는 것보다 D,D,D,D,D와 같이 동일한 근무를 배정하는 것입니다. |
||||||||||||||||||
최소 N 간격 |
나이트 간 최소 간격 나이트 근무가 끝나는 날부터 다음 나이트 근무를 시작하는 날까지 최소 5일 이상의 간격을 주고 싶은 경우 5로 입력합니다. |
||||||||||||||||||
최대 연속 N수 |
연속 나이트 근무의 최대 일수 |
||||||||||||||||||
연속 N 우선 |
나이트를 2 연속으로 배정할지 3연속으로 배정할지에 대한 우선순위 최대 연속 N수가 3인 경우에만 설정할 수 있습니다. |
||||||||||||||||||
최대 연속 근무일수 |
연속 근무의 최대 일수 |
||||||||||||||||||
생리 휴가 부여 |
생리 휴가 부여 대상인 경우 체크 근무자별 근무 수 설정에서 오프수 기준으로 근무수를 채우기 하면 생리 휴가 부여 대상자에게 오프 1개를 추가 부여합니다. 전반적으로 오프가 여유가 없을 경우 오프 추가 배정이 안 될 수 있습니다. |
||||||||||||||||||
휴일 근무 배정 |
휴일 근무가 가능한 경우 체크 휴일 근무가 불가능한 경우(임신부, 산후 1년 미만, 휴일 근무를 하지 않는 나이트 전담 등) 체크를 해제합니다. 단, 휴일 근무가 체크되지 않더라도 [근무표 정보 - 근무표 설정]에서 직접 근무를 지정한 경우 해당 근무가 가능합니다. |
□ 기능 설명
▸ 위로 / 아래로
근무자의 순번 변경은 화면 상단의 [위로], [아래로]를 이용합니다.
순번을 올리려면 해당 근무자를 선택한 후 [위로], 내리려면 [아래로]를 클릭합니다.
Drag & Drop으로도 순번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순번을 변경할 근무자를 선택한 후 Shift 키를 누르고 이동할 위치로 Drag & Drop합니다.
▸ 붙여넣기로 추가
근무자 정보 (이름, 사번)을 붙여넣기로 추가할 수 있는 화면이 나타납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엑셀이나 한셀과 같은 프로그램의 내용을 복사하여 붙여넣기로 근무자 정보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처음 붙여넣기를 하면 근무자가 추가되며 복사됩니다. 만약 근무자 이름이 잘못 입력되었다면 [초기화]를 클릭하여 초기화한 후 붙여넣기를 합니다.
▸ 일괄 추가
여러 명의 근무자를 일괄로 추가하는 화면이 나타납니다.
▸ 추가
근무자를 추가합니다.
▸ 삭제
체크한 근무자를 삭제합니다.
▸ 전월 근무자 정보 가져오기
[근무표 정보 - 근무표 옵션]에서 월별 근무자/관계 설정/근무 조건을 체크했을 때 표시됩니다.
전월에 설정한 근무자 정보를 가져옵니다.
▸ 기준월
[근무표 정보 - 근무표 옵션]에서 월별 근무자/관계 설정/근무 조건을 체크했을 때 표시됩니다.
설정할 기준월을 선택합니다.
마우스 우클릭 메뉴는 아래와 같습니다.
▸ 열 제목 포함 복사
열 제목을 포함하여 선택한 내용을 복사합니다.
▸ 되돌리기
변경 내용을 다시 원래대로 되돌립니다.
▸ 다시 실행
되돌리기로 취소했던 동작을 다시 실행합니다.
□ 수간호사
▸ 수간호사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 차지 가능 체크 해제
- 전담을 ‘주중 근무’로 선택 및 근무코드 선택
- 오버 멤버 체크
□ 주임간호사
▸ 나이트 근무가 없고 이브닝 근무를 한달에 2번 수행하는 경우 다음과 같이 설정하세요.
- 전담을 ‘주중 근무’로 선택 및 근무코드는 D 선택 (위 화면 참고)
- [근무표 정보 - 근무표 설정]에서 주임 간호사의 E 근무를 개수만큼 지정 (아래 화면 참고)
□ 숙련도가 균등할 때 팀 설정
병동 근무자가 수간호사를 포함하여 총 13명이고 숙련도가 아래와 같이 전문가 5명, 숙련가 5명, 초보자 3명으로 구성되어 있고 팀을 숙련도 상/중/하로 구분하여 운영하는 경우는 별도로 팀을 설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 숙련도가 불균등할 때 팀 설정
아래와 같이 숙련도가 균등하지 않은 경우는 팀을 별도로 설정하는 게 좋습니다. 팀은 1팀, 2팀, 3팀 또는 A, B, C 문자로 입력하면 됩니다. 동일한 문자를 입력하면 하나의 팀으로 처리됩니다.
□ 액팅 인원에 대한 설정
총 15명의 근무자를 2개의 팀으로 운영하면서 액팅 전담 인원이 2명 (간호사14, 간호사15) 있을 경우는 아래와 같이 액팅 전담인 간호사14, 간호사15는 팀을 배정하지 않고 나머지 인원에 대해서만 팀을 설정합니다.
□ 여러 팀으로 운영하는 경우
총 18명의 근무자를 4개의 팀으로 운영하는데 숙련도, 차지 가능이 아래와 같을 경우 4개의 팀을 1~4팀으로 아래와 같이 입력합니다.
관계 설정을 통해 근무자에 대한 협력, 배제, 제약 조건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근무자 정보 – 관계 설정] 메뉴를 클릭
[근무표 정보 - 근무표 옵션]에서 월별 근무자/관계 설정/근무 조건을 체크했다면 아래와 같이 좌상단에 기준월 항목이 추가된 <관계 설정> 화면이 나타납니다.
협력, 배제, 제약관계에 따라 화면에 나타나는 항목이 다르므로 좌측 관계 목록에 대한 화면 설명 후 협력, 배제, 제약관계 화면 순으로 설명합니다.
□ 항목 설명 (관계 목록)
기준월 |
[근무표 정보 - 근무표 옵션]에서 월별 근무자/관계 설정/근무 조건을 체크했을 때 표시되며 관계 설정이 적용되는 월을 의미 |
파트 |
관계를 설정할 파트 |
사용 여부 |
체크하면 근무표 생성시 관계를 반영 |
구분 |
협력, 배제, 제약관계 구분 |
명칭 |
관계 명을 사용자가 입력 |
□ 기능 설명 (관계 목록)
▸
협력 관계를 추가합니다.
▸
배제 관계를 추가합니다.
▸
제약 관계를 추가합니다.
▸
선택한 관계를 삭제합니다.
대상 근무자가 협력 근무자 목록의 근무자와 한명이라도 같이 근무해야 할 때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간호사10의 숙련도가 낮아서 전문가들과 근무를 같이 해야 하는 경우입니다.
□ 항목 설명 (협력 관계)
적용 근무유형 |
관계 정보를 적용할 근무유형을 체크 |
적용 요일 |
관계 정보를 적용할 요일을 체크 |
반영 비율 |
근무표 생성시 관계 정보를 반영할 정도를 설정합니다. 해당 관계 정보를 강하게 반영하고자 할 경우 반영 비율을 200% 이상으로 설정합니다. |
적용 기간 |
관계 정보를 적용할 기간 |
대상 근무자 |
협력 관계의 기준이 되는 근무자를 선택 해당 근무자의 근무에 협력 근무자 목록의 근무자 중 최소 1명을 동일 근무에 배정합니다. |
근무자 추가 방법 |
근무자 추가 방법 선택 ▸ 직접 추가 : 직접 선택하여 추가 ▸ 숙련도 선택 : 숙련도로 추가. 우측에 숙련도 선택 표시됨. ▸ 팀 선택 : 팀으로 추가. 우측에 팀 선택 표시됨. ▸ 성별 선택 : 성별로 추가. 우측에 성별 선택 표시됨. |
상태 |
근무자 추가 방법이 ‘숙련도 선택’, ‘팀 선택’, ‘성별 선택’인 경우 표시되며 포함/추가/제외로 구분 ▸ 포함 : 선택한 숙련도/팀/성별에 포함되는 근무자인 경우 표시 ▸ 추가 : 선택한 숙련도/팀/성별에 포함되지 않으나, 근무자 목록에 추가된 경우 표시 ▸ 제외 : 선택한 숙련도/팀/성별에 포함되지만, 근무자 목록에 제외된 경우 표시 |
숙련도 |
근무자의 숙련도 |
팀 |
근무자의 팀 |
이름 |
근무자 이름 |
대상 근무자가 배제 근무자 목록의 근무자와 근무가 겹치지 않도록 해야 할 때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간호사5가 숙련가이긴 하지만 아직 초보자들과 같이 근무하기에는 힘든 경우입니다.
□ 항목 설명 (배제 관계)
적용 근무유형 |
관계 정보를 적용할 근무유형을 체크 |
적용 요일 |
관계 정보를 적용할 요일을 체크 |
반영 비율 |
근무표 생성시 관계 정보를 반영할 정도를 설정합니다. 해당 관계 정보를 강하게 반영하고자 할 경우 반영 비율을 200% 이상으로 설정합니다. |
적용 기간 |
관계 정보를 적용할 기간 |
대상 근무자 |
배제 관계의 기준이 되는 근무자를 선택 해당 근무자의 근무에 배제 근무자 목록에 포함된 근무자를 동일 근무로 배정하지 않습니다. |
근무자 수 상관없이 배제 |
일자별 근무자 수와 상관없이 모든 일자에 배제 관계를 적용 |
근무자 수가 []명 이하일 경우 배제 |
일자별 근무수가 []명 이하일 경우에만 배제 관계 적용 |
근무자 추가 방법 |
근무자 추가 방법 선택 ▸ 직접 추가 : 직접 선택하여 추가 ▸ 숙련도 선택 : 숙련도로 추가. 우측에 숙련도 선택 표시됨. ▸ 팀 선택 : 팀으로 추가. 우측에 팀 선택 표시됨. ▸ 성별 선택 : 성별로 추가. 우측에 성별 선택 표시됨. |
상태 |
근무자 추가 방법이 ‘숙련도 선택’, ‘팀 선택’, ‘성별 선택’인 경우 표시되며 포함/추가/제외로 구분 ▸ 포함 : 선택한 숙련도/팀/성별에 포함되는 근무자인 경우 표시 ▸ 추가 : 선택한 숙련도/팀/성별에 포함되지 않으나, 근무자 목록에 추가된 경우 표시 ▸ 제외 : 선택한 숙련도/팀/성별에 포함되지만, 근무자 목록에 제외된 경우 표시 |
숙련도 |
근무자의 숙련도 |
팀 |
근무자의 팀 |
이름 |
근무자 이름 |
특정 근무자들에 대해 최소 또는 최대 근무 배정 인원을 제약하거나 최소와 최대를 동시에 제약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합니다.
▸ 제약 관계에서 설정할 수 있는 옵션은 4개이고 체크박스를 체크하면 적용됩니다.
▸ 제약 관계의 옵션은 중복 체크 가능합니다.
□ 항목 설명 (제약 관계)
적용 근무유형 |
관계 정보를 적용할 근무유형을 체크 |
적용 요일 |
관계 정보를 적용할 요일을 체크 |
반영 비율 |
근무표 생성시 관계 정보를 반영할 정도를 설정합니다. 해당 관계 정보를 강하게 반영하고자 할 경우 반영 비율을 200% 이상으로 설정합니다. |
적용 기간 |
관계 정보를 적용할 기간 |
해당 인원을 최소 []명 이상으로 근무 배정 |
체크할 경우 근무자 목록에 포함된 근무자 중 최소 []명 이상 근무에 배정 |
해당 인원을 최대 []명 까지 근무 배정 |
체크할 경우 근무자 목록에 포함된 근무자는 최대 []명 까지 근무에 배정 |
근무자 수가 []명 이하일 경우 해당 인원을 제외하여 근무 배정 |
체크할 경우 일자별 근무자 수가 []명 이하일 때 근무자 목록에 포함된 근무자는 근무에서 제외 |
해당 인원이 []명 초과하여 근무에 배정될 경우 초과 인원은 오버 멤버로 처리 |
체크할 경우 근무자 목록에 포함된 근무자가 []명 초과하여 근무에 배정되었을 때 초과된 근무자는 오버 멤버로 처리 |
근무자 추가 방법 |
근무자 추가 방법 선택 ▸ 직접 추가 : 직접 선택하여 추가 ▸ 숙련도 선택 : 숙련도로 추가. 우측에 숙련도 선택 표시됨. ▸ 팀 선택 : 팀으로 추가. 우측에 팀 선택 표시됨. ▸ 성별 선택 : 성별로 추가. 우측에 성별 선택 표시됨. |
상태 |
근무자 추가 방법이 ‘숙련도 선택’, ‘팀 선택’, ‘성별 선택’인 경우 표시되며 포함/추가/제외로 구분 ▸ 포함 : 선택한 숙련도/팀/성별에 포함되는 근무자인 경우 표시 ▸ 추가 : 선택한 숙련도/팀/성별에 포함되지 않으나, 근무자 목록에 추가된 경우 표시 ▸ 제외 : 선택한 숙련도/팀/성별에 포함되지만, 근무자 목록에 제외된 경우 표시 |
숙련도 |
근무자의 숙련도 |
팀 |
근무자의 팀 |
이름 |
근무자 이름 |
□ 기능 설명 (협력/배제/제약관계 공통)
▸ 추가 (근무자 목록)
근무자 선택 화면이 나타납니다.
▸ 삭제 (근무자 목록)
선택한 근무자를 목록에서 삭제합니다.
▸ 근무자 목록 복사 후 붙여넣기
근무자 목록은 근무자 추가 방법이 직접 추가인 경우 복사 후 붙여넣기가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관계1”의 근무자 2명을 선택하여 복사(Ctrl+C)한 후 “관계2“의 근무자 목록을 마우스 클릭한 뒤 붙여넣기(Ctrl+V)하면 복사한 근무자가 등록됩니다.
□ 나이트 근무자 수가 3명일 때 상1/하2, 중1/하2 로 근무자 배정되는 것을 피하는 방법
▸ 숙련도를 기준으로 상1/중1/하1, 상2/중1, 상1/중2, 상2/하1, 중2/하1는 허용하나 상1/하2, 중1/하2 형태로 배정되면 곤란한 경우입니다.
▸ 초보자는 1명만 배정하려면 하 근무자에 대해 제약 관계를 아래와 같이 설정하세요.
- 적용 근무 유형은 나이트만 선택
- 해당 인원이 [1]명 초과하여 근무 배정될 경우 초과 인원은 오버 멤버로 처리를 체크
□ 초보자에 대한 설정
▸ 2개 팀으로 운영하는 병동에서 모두 신규 근무자들만 근무를 할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막기 위해 아래와 같이 신규 근무자들에 대한 제약 관계를 설정합니다.
▸ 만약 5명의 초보자에 대해 가능하면 중복되지 않도록 근무를 배정하려면 제약 관계를 아래와 같이 설정합니다.
▸ 근무자 수가 2명일 경우 초보자를 근무에서 제외시키거나 초보자가 근무에 배정되었더라도 오버 멤버로 처리하려면 아래와 같이 설정합니다.
※ 제약 관계 설정에서 가장 강력한 옵션이 ‘해당 인원이 ... 오버 멤버로 처리’입니다.
□ 초보자와 전문가가 동시 근무하도록 설정
▸ 프리셉티-프리셉터는 1:1 관계이나 협력 관계는 1:n 관계로 설정 가능합니다.
▸ 프리셉티 간호사10에 대해 프리셉터를 간호사3, 간호사4가 담당할 경우 아래와 같이 협력 관계를 설정합니다.
□ 임산부가 여럿일 경우에 대한 설정
▸ 근무자 중 2명의 임산부가 같이 근무하지 않도록 하려면 아래와 같이 설정합니다.
□ 남자 근무자가 필수로 근무해야 하는 경우에 대한 설정
▸ 병동 상황에 따라 남자 근무자가 D근무를 필수로 근무해야 한다면 아래와 같이 적용 근무유형을 D만 체크하고 E, N은 체크 해제 후 해당 인원 최소 [1]명 이상 근무 배정을 선택합니다.
근무 패턴에 따라 근무를 일정하게 배정하는 경우 사용합니다. 근무 패턴을 등록하고, 팀별로 근무 패턴 적용 시점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근무자 정보 – 근무 패턴]을 클릭
근무 패턴은 아래와 같이 일정한 패턴으로 근무표를 작성할 때 적용할 패턴을 의미합니다.
위 근무표는 “D,D,E,E,/,/,N,N,/,/” 패턴 근무를 아래와 같이 설정한 경우의 예시입니다.
□ 항목 설명
패턴 목록 |
명칭 |
패턴명 |
패턴 |
근무 패턴 패턴을 수정하려면 |
|
설명 |
설명 |
|
패턴 적용 |
파트 |
패턴을 적용할 파트 |
팀 |
패턴을 적용할 팀 |
|
패턴명 |
팀에 적용할 근무 패턴 |
|
적용 시작일 |
패턴 적용 시작일 |
|
적용 종료일 |
패턴 적용 종료일 적용 종료일을 입력하지 않을 경우 계속 반영됩니다. |
|
패턴 시작점 |
근무 패턴의 시작 위치 근무 패턴이 ‘D,D,E,E,/,/,N,N,/,/’이고 시작점이 3인 경우 ‘E,E,/,/,N,N,/,/,D,D,E,E,/,/,N,N,/,/,...’ 로 적용 |
|
미리보기 |
[미리보기]을 클릭하면 패턴 적용 시작일을 기준으로 근무 패턴이 적용된 근무표 화면이 나타납니다. |
□ 기능 설명
▸ 추가 (패턴 목록)
근무 패턴을 추가합니다.
▸ 삭제 (패턴 목록)
선택한 근무 패턴을 삭제합니다.
근무표 생성을 위해 [근무표 설정], [근무 조건 설정], [기피 패턴 설정], [구간 설정], [근무표 옵션] 메뉴가 있습니다.
근무표 자동 생성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 중 전월 근무표, 신청 근무, 일자별 근무자 수, 근무자별 근무 수를 설정하고 근무표 자동 생성을 요청하는 화면입니다.
[근무표 정보 – 근무표 설정] 메뉴를 클릭
□ 항목 설명
기준월 |
근무표 설정 대상 월 |
파트 |
근무 설정 대상 파트 |
순번 |
근무자 표시 순번 |
팀 |
근무자가 속한 팀 |
이름 |
근무자 이름 |
숙련도 |
근무자 숙련도 |
전월 잔여 |
전월 근무표에 부족한 오프나 초과된 오프를 입력합니다. [근무표 결과 - 근무표 확인]에서 근무표를 확정하면 확정된 근무표의 누적잔여 오프가 다음 달 근무표에 전월 잔여 오프로 자동 입력됩니다. |
잔여 연차 |
근무자의 잔여 연차 수를 입력합니다. |
전담 |
전담 근무 유형 |
근무 설정 |
기준월의 근무자별 일자별 신청 근무 또는 지정 근무 입력 |
근무자별 근무 수 |
근무표 생성시 적용할 근무자별 D, E, N, / 수 |
연간 누적 수 |
전월까지 확정된 근무표의 연간 D, E, N, /의 누적 수 |
일자별 근무자 수 |
일자별로 D, E, N의 근무자 수 |
□ 기능 설명
▸ 표시 구분 – 근무 코드 색상 표시
표시 구분을 근무 코드 색상 표시로 선택하면 [기초 정보 – 근무코드]에서 설정한 색상으로 근무코드의 배경색이 표시됩니다.
▸ 표시 구분 - 휴일 음영 표시
표시 구분을 휴일 음영 표시로 선택하면 휴일은 회색으로 평일은 흰색으로 표시됩니다.
▸ 색상 설정
표시 구분 우측의 [색상 설정]을 클릭하면 신청 근무 색상, 토요일 색상, 일요일 색상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붉은색 동그라미 엑스()를 클릭하면 선택한 색상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 Wanted 편집 허용
신청 근무는 근무코드에 별표(*)가 같이 입력된 경우입니다. 별표(*)가 입력된 근무를 수정하기 위해서는 화면 좌측 상단에 있는 Wanted 편집 허용을 체크한 후 수정합니다.
▸ 전월 근무표 편집 허용
확정된 전월 근무표가 존재할 경우 근무 설정 좌측에 7일간의 전월 근무가 표시됩니다.
전월 근무를 수정하려면 화면 좌측 상단에 있는 전월 근무표 편집 허용을 체크해야 합니다.
▸ 사용자 입력 표시
사용자 입력 표시를 체크하면 프로그램 화면에서 입력한 근무는 셀 오른쪽 상단에 파란색 세모가 표시됩니다. 전담 근무나 신청 근무 반영으로 값이 표시된 경우에는 파란색 세모가 표시되지 않습니다.
사용자 입력 표시를 해제하면 사용자 입력 표시가 사라집니다.
▸ 메모()
근무표 작성에 필요한 메모를 조회/수정하는 화면이 나타납니다.
AutoSchedule365 사이트의 <근무신청> 화면에 표시되는 공지사항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 신청 근무 반영
AutoSchedule365 사이트에서 신청한 근무를 근무설정에 반영합니다.
▸ 전월 근무표 등록
<전월 근무표> 등록 화면이 나타납니다.
처음 메이트런을 실행한 경우 전월 근무표를 반영하기 위한 기능입니다.
▸ 특정일 이후 근무표 생성
날짜 선택 화면이 나타나고, 날짜를 선택하면 <특정일 이후 근무표 생성> 화면이 나타납니다.
이 기능은 확정된 근무표에서 특정일 이후의 근무표를 재생성해 줍니다.
▸ 근무표 생성
입력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근무표 생성을 서버에 요청하기 위한 화면이 나타납니다.
근무표 생성 진행상황이나 생성된 근무표 조회는 [근무표 결과 - 근무표 확인]에서 가능합니다.
마우스 우클릭 메뉴는 아래와 같습니다.
▸ 모든 열 너비 자동조절
화면의 모든 열 너비를 자동으로 알맞게 조정해 줍니다.
▸ 표시/숨기기
체크된 항목을 화면에 표시하거나 숨깁니다.
▸ 선택 영역 별표(Wanted) 추가
선택 영역에 별표(*)를 추가합니다. 별표가 포함된 근무는 신청 근무를 의미합니다.
▸ 선택 영역 별표(Wanted) 제거
선택 영역에 별표(*)를 제거합니다.
▸ 선택 영역 + 하나 추가
근무자별 근무 수에서 선택된 영역에 + 를 하나 추가합니다.
▸ 선택 영역 + 하나 제거
근무자별 근무 수에서 선택된 영역에 + 하나를 제거합니다.
▸ 선택 영역 – 하나 추가
근무자별 근무 수에서 선택된 영역에 - 하나 추가합니다.
▸ 선택 영역 – 하나 제거
근무자별 근무 수에서 선택된 영역에 - 하나를 제거합니다.
▸ 선택 영역 일괄 변경
근무표의 특정 영역 근무코드를 일괄로 변경할 때 사용합니다.
[선택 영역 일괄 변경]을 클릭,
[모두 바꾸기]를 클릭하면, 선택된 영역의 변경 전 근무가 변경 후 근무로 일괄 변경됩니다.
▸ 쉽게 근무 입력
근무 설정에 근무를 쉽게 입력하는 화면이 나타납니다.
[쉽게 근무 입력]을 클릭,
근무자, 근무, 날짜를 입력하고 [적용]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선택한 근무자에게 입력한 날짜에 선택한 근무가 입력됩니다.
▸ 열 제목 포함 복사
선택된 셀의 열 제목을 포함하여 복사합니다.
▸ 복사
선택한 영역의 값을 복사합니다.
▸ 붙여넣기
복사한 영역의 값을 선택한 셀에 붙여넣기 합니다.
▸ 되돌리기
변경 내용을 이전 상태로 되돌립니다.
▸ 다시 실행
되돌리기로 취소했던 동작을 다시 실행합니다.
▸ 가능 근무 보기
각 일자에 배정 가능한 근무를 보여주는 화면이 나타납니다.
배정 가능 근무는 아래의 정보를 바탕으로 정해집니다.
- [근무표 정보 - 근무표 설정]의 신청 근무, 일자별 근무자 수
- [근무자 정보 – 근무자]에서 오버 멤버, 최대 연속 N수, 최대 연속 근무일수
- [근무자 정보 - 관계 설정]에서 해당 인원이 0명 초과하여 근무에 배정될 경우 초과 인원은 오버 멤버로 처리
▸ 인쇄
입력한 내용을 인쇄하는 화면이 나타납니다.
마우스로 근무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근무 설정 항목 우측 끝에 를 클릭하면 <근무 입력> 화면이 나타납니다.
<근무 입력> 화면에서 근무를 선택 후 근무 설정 영역에서 셀을 클릭하면 선택된 근무가 자동으로 입력됩니다.
신청 근무(리퀘스트)를 입력할 경우 Wanted를 체크 후 셀을 선택합니다. Wanted를 체크하면 근무에 * 문자가 같이 입력됩니다.
|
신청 오프(/*) |
|
|
|
|
근무표 생성시 신청 Off(/*) 앞에 Night 근무를 배제합니다. 근무코드의 근무유형을 ‘Off’ 또는 ‘Off like’로 설정한 근무도 * 문자를 입력하면 신청 오프와 동일하게 앞에 Night 근무를 배제합니다. |
입력된 값을 삭제하려면 삭제 선택 후 셀을 선택하면 입력값을 삭제합니다. 마우스로 여러 영역을 선택하여 삭제할 수도 있습니다.
근무 설정 입력 셀에서 키보드로 문자를 입력하거나, 셀을 선택 후 목록에서 근무를 선택하거나, 엑셀 내용을 복사 후 붙여넣기로 입력할 수 있습니다.
근무 설정은 각 근무자의 일자별 근무를 지정하는 것으로, 하나 이상의 근무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콤마(,)로 구분하여 여러 근무를 입력한 경우 근무표 생성 시 입력한 근무 중 하나를 배정합니다.
평일에는 D근무를 토요일과 일요일에는 Off를 부여해야 한다면 아래와 같이 하나의 근무를 입력합니다.
D와 E근무만 수행해야 할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입력합니다.
여러 개 입력시 자동 생성 근무 코드(D,E,N,Off(/))만 입력 가능합니다.
예 |
설명 |
D,E |
D 또는 E 근무 중 하나로 결정 |
D,E,/ |
D, E, Off 중 하나로 결정 |
교,D |
입력 오류 |
▸ [근무자 정보 – 근무자]에서 전담을 설정했다면 근무가 입력된 것으로 처리됩니다.
임산부와 같이 N 근무를 배제해야 할 경우 1일부터 31일까지 “D,E,/”를 입력합니다. “D,E”만 입력할 경우 오프를 부여하지 않게 됩니다. 1일에 “D,E,/”를 입력하고 복사(Ctrl+C) 후 2일부터 31일까지 붙여넣기(Ctrl+V) 할 수 있습니다. 근무를 입력하는 대신 [근무자 정보 – 근무자]에서 해당 근무자를 ‘D,E전담’으로 설정하면 1일부터 31일까지 “D,E,/”를 입력한 것으로 처리합니다.
야간 전담 근무자일 경우 1일부터 31일까지 “N,/”를 입력합니다. 근무자를 ‘N전담’으로 설정하는 것과 동일합니다.
|
특정일에 과도한 오프 |
|
|
|
|
특정일에 신청 오프가 겹치는 일이 자주 발생하는데 D,E,N 근무자 수와 신청 오프수의 합이 근무자 수에 근접할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자별 신청 오프수를 (근무자 수 – DEN근무자 수 – 전일 N근무자 수) 이하가 되도록 신청 오프를 제한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
|
신청 오프 앞뒤의 근무 지정 |
|
|
|
|
신청 오프 앞에 D, 신청 오프 뒤에 N으로 하여 D, /, /, N 형태로 근무를 지정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근무자에게 좋은 패턴을 제공하려는 의도겠으나 지정된 근무는 근무표에 제약을 주어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신청 오프를 /* 로 입력하시고 앞뒤 근무 지정은 피하시기 바랍니다. |
|
나이트 근무를 지정하는 경우 |
|
|
|
|
근무표 생성시 나이트 근무를 수작업으로 작성한 후 D, E 근무만을 생성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지정된 나이트는 근무표 제약 사항으로 적용되나 그 제약으로 더 좋은 근무표를 생성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나이트 근무를 지정하는 것보다 프로그램이 생성하도록 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
□ 복사 후 붙여넣기
근무 설정과 일자별 근무수 등은 복사 및 붙여넣기로 입력 가능합니다.
엑셀이나 한셀과 같은 프로그램의 내용을 복사하여 붙여넣기 할 수 있고 반대로도 가능합니다.
일자별 근무자 수를 일괄 입력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일자별 근무자 수의 마술봉을 클릭하면 주중과 토요일, 일요일(공휴일)별로 근무자 수를 지정하는 화면이 나타납니다.
주중과 토요일, 일요일(공휴일) 근무자 수를 입력하고 [채우기]를 클릭하면 일자별 근무자 수가 일괄 입력됩니다. 입력 구분을 요일별을 선택하면 요일별로 근무자 수를 일괄 입력할 수 있습니다.
일자별 근무자 수는 일자별로 요구되는 D,E,N 필요 근무자 수를 의미합니다.
일자별 근무자 수는 [근무자 정보 – 근무자]에서 오버 멤버로 설정한 근무자는 제외하고 입력하시기 바랍니다.
|
참고 |
|
|
|
|
근무유형이 ‘Day’, ‘Evening’, ‘Night’인 근무도 일자별 근무수에 합산됩니다. |
D,E,N 근무자 수 합계는 화면 오른쪽 부분에 표시됩니다.
근무자별 근무수 하단에는 근무자별 근무 수의 합이 표시되며 일자별 근무자 수 합과 근무자별 근무 수 합이 같은 줄에 표시되므로 한눈에 근무 수 일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근무자별 근무 수를 자동으로 입력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근무자별 근무 수 우측 마술봉을 클릭하면 근무자별 근무 수 자동 입력 화면이 나타납니다.
자동 입력은 Day, Evening, Night 별 내림차순 또는 오름차순 기준을 선택할 수 있고 비어 있는 곳에만 자동 입력됩니다. 내림차순일 경우 위쪽 근무자부터, 오름차순일 경우 아래쪽 근무자부터 근무 수를 부여합니다. D, E, N, Off(/) 중 선택된 근무에 대해서만 자동 입력됩니다.
아래 그림은 Day 오름차순, Evening 내림차순, Night 오름차순으로 입력한 뒤 자동입력을 했을 때의 예시 화면입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간호사1에 대해서 근무자별 근무 수가 이미 입력이 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값을 제외한 나머지 근무수가 자동으로 입력됩니다.
근무자별 근무 수 자동입력은 아래의 사항을 고려하여 자동으로 근무 수를 입력합니다.
- 근무별 차지/팀별 차지
- 전월 잔여 오프 수
- 일자별 근무자 수
- 시간 선택제 근무 수
- N전담 근무일수
- 기준월 기준 오프수
근무자별 근무 수는 2가지 할당 방법을 제공합니다.
오프(주말, 휴일)수 기준은 주말과 휴일를 오프수로 부여 후 D, E, N 근무수를 부여합니다.
2020년 4월의 경우 주말과 휴일이 10일이므로 오프 기준일 경우 모든 근무자에게 10개의 오프를 부여합니다.
오프 기준일 경우 남는 근무를 Day, Evening 모두 배정할지 Day나 Evening 한 곳에 배정할지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일자별 근무자 수 기준은 일자별 근무자 수에 맞게 D, E, N 근무수를 부여 후 오프를 부여합니다.
근무자별 근무 수는 기준월의 D, E, N, / 근무수를 의미합니다.
근무표 생성 시 할당된 근무 수와 최대한 일치하도록 근무를 배정합니다.
|
참고 |
|
|
|
|
근무유형이 ‘Day’, ‘Evening’, ‘Night’인 근무도 근무자별 근무 수에 합산됩니다. |
기준월의 말일까지 오버 멤버인 근무자는 근무 수 합에서 제외되어 표시됩니다. 마우스 포인터를 근무수 합계 위에 위치시키면 아래와 같이 오버 멤버의 근무 수를 포함한 값이 툴팁으로 표시됩니다.
▸ 남는 근무 수에 대한 처리
근무자별 근무 수의 합이 일자별 근무자 수의 합보다 많을 경우 2가지 방법으로 이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 1안> 특정 요일에 일자별 근무자 수를 늘리는 방법
- 2안> 옵션에서 남는 근무를 특정 요일에 배정하는 방법
[근무표 정보 - 근무표 옵션]에서 남는 근무 우선 배정 요일 항목에 어떤 요일에 우선 배정할 것인지를 체크
|
연속된 신청 오프 |
|
|
|
|
3일 이상 연속 오프가 있을 경우, 오프 수를 여유 있게 부여하거나 연속 오프 중 일부를 연차로 변경 후 근무표를 생성하는 게 좋습니다. 결혼, 휴가 등 5일 이상 청휴나 연차는 청휴나 연차로 입력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
|
근무자별 적정 오프 수 |
|
|
|
|
월 기준 오프수는 10개 내외로 부여합니다. 간혹 근무자별 근무 수에 오프 수를 8개 이하로 입력하여 근무표를 생성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4~5일 근무 후 오프가 한 사이클이면 월 6 ~ 7번의 사이클마다 오프, 나이트 후 2일 오프, 신청 오프 등이 있으니 8개 이하 오프 수는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가 나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근무자별 오프수를 월 최소 10개 이상 되도록 입력해 주세요. |
|
근무자별 근무 수 고정 |
|
|
|
|
입력된 근무자별 근무 수와 동일하게 근무표가 작성되어야 하는 경우, 근무자별 근무 수에 별표(*)를 포함시켜 입력하면 최대한 입력된 근무 수와 일치하도록 근무표가 생성됩니다. 임산부의 Off 수, 주임의 Evening 수 등 근무수가 입력값과 정확히 일치해야 하는 경우에 한정하여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근무자별 근무 수에 별표(*)를 너무 많이 입력하면 다른 조건을 만족시키기 매우 어렵기 때문에 꼭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
|
근무자별 근무 수 추가 옵션 |
|
|
|
|
입력된 근무자별 근무 수보다 많거나 적게 근무표를 생성해도 무방한 경우, +, - 를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 : 입력된 + 기호 수만큼 더 큰 값을 허용합니다. |
나이트 자동입력 ⟶ 나이트 조정 ⟶ 데이/이브닝 자동입력 순으로 사용하세요.
▸ 아래와 같이 자동입력 대상을 N만 체크한 상태에서 [채우기]를 클릭합니다.
▸ 아래 그림 왼쪽이 자동 채우기 결과입니다. 근무자별 나이트 수를 원하는 수로 조정합니다.
- 나이트 차지 가능한 근무자의 나이트 수의 합이 30 이상이 되도록 수정
▸ 아래와 같이 자동입력 대상을 모두 선택 후 [채우기]를 클릭합니다.
- 자동입력은 값이 없는 셀에 대해서만 입력되기 때문에 나이트 조정된 값은 유지됩니다.
- 오프 기준은 해당 월의 오프 수를 우선 배정 후 데이, 이브닝을 배정합니다.
- 일자별 근무자 수 기준은 데이, 이브닝 수를 배정 후 남은 근무수를 오프로 배정합니다.
▸ 아래와 같이 데이, 이브닝이 일자별 근무자 수를 기준으로 자동으로 채워집니다.
- 일부 조정이 필요한 경우 데이, 이브닝을 수정하시면 됩니다.
<근무표 설정> 화면 상단에 있는 [메모장]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메모장은 월별로 관리되며 메모나 근무자에게 전달할 공지사항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입력한 공지 내용은 AutoSchedule365 사이트의 <근무신청> 화면에 자동으로 표시됩니다.
처음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경우, 전월 근무표를 등록해야 전월 근무에 이어서 근무표 생성이 가능합니다. <근무표 설정> 화면의 [전월 근무표 등록]을 클릭합니다.
전월 근무표 정보를 이름을 포함하여 엑셀이나 한셀에서 복사한 뒤 [붙여넣기]를 클릭하거나 Ctrl+V 키를 입력하여 근무표 정보를 입력합니다.
처음 붙여넣기를 하면 근무자가 추가되며 복사됩니다. 만약 근무자 이름이 잘못 입력되었다면 [초기화]를 클릭하여 초기화한 후 붙여넣기를 합니다.
전월 근무표 등록으로 등록한 근무표는 이전달의 확정 근무표로 등록됩니다.
전월 근무표 등록시 [근무자 정보 – 근무자]에서 정의한 이름과 동일한 이름으로 등록하셔야 합니다. 메이트런 프로그램에서 근무표를 확정하면 차월에는 자동으로 전월 근무표로 처리되므로 처음 사용할 때만 전월 근무표를 등록하시면 됩니다.
EMR 시스템과 연동되는 병원은 [EMR에서 가져오기]가 표시됩니다.
모든 파트를 선택하고 [EMR에서 가져오기]를 하면 모든 근무자의 근무표 정보를 가져옵니다. 특정 파트를 선택하고 [EMR에서 가져오기]를 하면 선택한 근무자의 근무표 정보를 가져옵니다.
□ 로그인이 필요한 경우
[EMR에서 가져오기]를 클릭하면 <로그인> 화면이 나타납니다.
EMR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접속]을 클릭하면 EMR의 전월 근무표를 가져옵니다.
□ 로그인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EMR 로그인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근무자 정보 – 근무자]의 수간호사 사번을 이용하여 EMR의 전월 근무표를 가져옵니다.
전월 근무표를 정상적으로 가져오지 못하는 경우는 수간호사 사번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EMR 또는 병원정보시스템(HIS)과의 연동은 matron@kaiem.co.kr 로 문의 바랍니다.
AutoSchedule365 사이트에서 신청한 근무를 반영하려면 <근무표 설정> 화면 상단에 있는 [신청 근무 반영]을 클릭합니다.
<확인> 창이 나타나고,
[예]를 클릭하면 근무 설정에 신청 근무가 입력됩니다.
HIS 시스템과 연동되는 병원은 [신청 근무 반영]을 클릭하면 <신청 근무 출처 선택> 화면이 나타납니다.
신청 근무 출처를 HIS로 선택하고 [선택]을 클릭하면 HIS에서 신청 근무를 가져옵니다.
확정된 근무표를 부분적으로 재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특정일 이후 근무표 생성 고려사항 |
|
|
|
|
확정된 근무표 사용 중 근무표 변경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변경 사항이 특정 날짜 이후 근무표를 재생성해야 하는 수준인지 아니면 일부 조정 가능한 수준인지 판단하시고, 재생성해야 한다면 확정된 근무표를 특정 날짜 이후 생성 기능을 이용하여 부분 생성합니다. ▸ 확정한 근무표가 존재해야 함. ▸ 선택한 날짜 이전의 근무표는 모두 고정된 것으로 처리 ▸ 선택한 날짜 이후의 근무표에서 신청 근무는 유지 ▸ 변경 사항을 입력 후 재생성 |
[특정일 이후 근무표 생성]을 클릭합니다.
확정 근무표가 없는 경우는 아래 <정보> 창이 나타납니다.
확정 근무표가 있는 경우는 <날짜 선택> 창이 나타납니다.
날짜를 선택하고 [근무표 생성]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특정일 이후 근무표 생성> 화면이 나타납니다.
선택한 날짜 이전은 확정된 근무로 고정되어 표시되며, 남은 일자에 대해 근무자별 근무 수와 월 기준 근무자별 근무 수가 구분되어 표시됩니다.
변경 사항을 근무 설정에 입력하고 남은 일자에 대한 근무자별 근무 수를 수정합니다.
근무자별 근무 수(합계)는 선택한 날짜 이전의 확정된 근무와 남은 일자의 근무자별 근무 수(남은 일자)의 합을 표시합니다.
[근무표 생성]을 클릭하면 <근무표 생성> 화면이 나타납니다.
입력한 정보를 바탕으로 근무표를 생성하려면 <근무표 설정> 화면에서 [근무표 생성]을 클릭합니다.
화면 상단에는 근무표 생성을 요청할 파트 목록이, 하단에는 오류/경고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생성 요청] 좌측에 ‘N 근무 생성’, ‘근무표 생성’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 N 근무 생성 : Night 근무만 배정
- 근무표 생성 : 모든 근무 배정
근무표 생성은 이전에 생성한 근무표를 참고합니다. 근무표를 생성할 때마다 다른 근무표 결과를 얻기 원한다면 기존 근무표를 참고하여 근무표 생성을 체크 해제 후 생성 요청하면 근무표 결과가 달라집니다.
대상 파트 선택에서 근무표 생성할 파트를 체크 후 [생성 요청]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정보> 창이 나타나고, [근무표 결과 - 근무표 확인]의 근무표 목록 하단에 요청 정보가 추가됩니다.
오류/경고 목록에 표시되는 오류/경고 관련 내용으로 이동하려면 해당 오류/경고를 선택 후 [오류/경고 화면 이동]을 클릭합니다.
아래와 같이 오류/경고 정보가 화면 하단에 나타나며, 메인 화면에 관련 내용이 선택되어 표시됩니다.
예로, 배치 가능한 근무에 대한 오류/경고인 경우 <가능 근무 보기> 화면이 표시됩니다.
오류는 문제를 해결해야 근무표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경고는 근무표를 생성할 수는 있으나 가능한 문제 해결 후 근무표를 생성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근무표 자동 생성할 때 고려해야 할 주/월 기준 제약 조건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근무표 정보 – 근무 조건 설정] 메뉴를 클릭
아래 그림은 [근무표 정보 - 근무표 옵션]에서 월별 근무자/관계 설정/근무 조건을 체크했을 경우 나타나는 <근무 조건 설정> 화면입니다.
<근무 조건 설정> 화면은 모든 파트에 적용되는 공통 설정과 파트별로 적용되는 파트별 조건이 있습니다.
▸ 근무 조건
- 가중치는 기본으로 제공하는 값을 적용하되 필요시 병동 상황에 따라 조정할 수 있습니다.
- 해당 항목이 필요 없을 경우 0%로 설정하고 해당 항목이 반영이 잘 안 될 경우 조정값(100%) 만큼 증가시켜 근무표를 생성해 보세요.
- 가중치는 0 ~ 500% 사이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가중치가 높을수록 강하게 반영합니다.
구분 |
설명 |
기본값(%) |
조정값(%) |
주 52시간 이하 근무 제약 |
나이트 9.5시간 기준으로 주중 근무시간이 52시간 이하가 되도록 근무를 배정하기 위한 가중치 나이트의 근무 시간 변경 가능 휴일 반영 여부 선택 가능 |
100 |
100 |
주 40시간 이상 근무 제약 |
나이트 9.5시간 기준으로 주중 근무시간이 40시간 이상이 되도록 근무를 배정하기 위한 가중치 나이트의 근무 시간 변경 가능 휴일 반영 여부 선택 가능 |
100 |
100 |
▸ 근무 조건 목록
- 사용자가 근무자별 근무 조건을 추가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 근무 조건 항목이 필요 없을 경우 사용 여부를 체크 해제하거나 삭제하세요.
- 근무 조건을 추가하면 기본 가중치는 200%로 설정되며 반영이 잘 안 될 경우 100% 씩 증가시켜 근무표를 생성해 보세요. (0 ~ 500%)
- 근무 조건을 과하게 추가한 경우 오히려 결과가 나빠지니 가장 중점적으로 반영되었으면 하는 조건을 추가하여 결과를 확인하는 게 효과적입니다.
근무 조건은 ①, ②, ③, ④ 항목으로 구성되며, 각 항목별 선택 가능한 값은 아래와 같습니다.
항목 |
선택 가능한 값 |
① |
매주, 매월 |
② |
① 항목 값이 ‘매주’인 경우 : Mid, Night, 오프, 주말 오프, 주말 근무 ① 항목 값이 ‘매월’인 경우 : 주말 오프, 주말 근무, 연속 2오프, 연속 3오프, 2 연속 근무 후 오프, 3 연속 근무 후 오프, 4 연속 근무 후 오프, 5 연속 근무 후 오프, 6 연속 근무 후 오프, 주말 근무하는 주, 특정 요일 Night, 특정 요일 Off |
③ |
숫자 (매주인 경우 0~7, 매월인 경우 0~31) |
④ |
만, 이상, 이하 |
추가 옵션 |
주말에 휴일 포함 : 체크할 경우 주말에 휴일을 포함 ② 항목 값이 ‘주말 오프’, ‘주말 근무’, ‘주말 근무하는 주’인 경우 표시
휴일 반영 : 토/일요일이 아닌 휴일의 수만큼 오프 추가 배정 ② 항목 값이 ‘오프’ 이고 ④ 항목 값이 ‘이상’, ‘만’인 경우 표시
월, 화, 수, 목, 금, 토, 일, 공휴일 : 체크한 요일을 기준으로 조건을 설정 ② 항목 값이 ‘특정 요일 Night’, ‘특정 요일 Off’인 경우 표시 |
- 근무 조건 예시
□ 항목 설명
사용 여부 |
체크하면 해당 근무 조건 정보를 근무표 생성 시 적용 |
명칭 |
근무 조건 명칭 입력 |
조건 |
근무 조건 설정 조건 셀을 클릭하면 조건을 설정할 수 있음 |
적용 기간 |
근무 조건을 적용할 기간 입력 |
반영 비율 |
근무표 생성 시 근무 조건 정보를 반영할 정도를 설정 강하게 반영하고자 할 경우 200% 이상으로 설정 |
대상 근무자 |
근무 조건을 적용할 대상 근무자를 선택 ▸ 모든 근무자 : 모든 근무자에 근무 조건 적용 ▸ 일부 근무자 : 일부 근무자에 근무 조건 적용 |
근무자 추가 방법 |
대상 근무자를 ‘일부 근무자’로 선택한 경우 표시 ▸ 직접 추가 : 근무자를 직접 선택하여 추가하는 방법 ▸ 숙련도 선택 : 숙련도로 근무자를 선택하는 방법 ▸ 팀 선택 : 팀으로 근무자를 선택하는 방법 ▸ 성별 선택 : 성별로 근무자를 선택하는 방법 |
숙련도 선택 |
근무자 추가 방법을 ‘숙련도 선택’으로 선택한 경우 표시 관계 정보를 반영할 숙련도를 선택 |
팀 선택 |
근무자 추가 방법을 ‘팀 선택’으로 선택한 경우 표시 관계 정보를 반영할 팀을 선택 |
성별 선택 |
근무자 추가 방법을 ‘성별 선택’으로 선택한 경우 표시 관계 정보를 반영할 성별을 선택 |
상태 |
근무자 추가 방법을 ‘숙련도 선택’이나 ‘팀 선택’, ‘성별 선택’으로 선택한 경우 표시 ▸ 포함 : 선택한 숙련도/팀/성별에 포함되는 근무자인 경우 표시 ▸ 추가 : 선택한 숙련도/팀/성별에 포함되지 않으나, 근무자 목록에 추가된 경우 표시 ▸ 제외 : 선택한 숙련도/팀/성별에 포함되지만, 근무자 목록에 제외된 경우 표시 |
숙련도 |
근무자의 숙련도가 표시 |
팀 |
근무자의 팀이 표시 |
성별 |
근무자의 성별이 표시 |
이름 |
근무자의 이름이 표시 |
□ 기능 설명
▸ 추가 (근무 조건 목록)
근무 조건을 추가합니다.
▸ 삭제 (근무 조건 목록)
선택한 근무 조건을 삭제합니다.
▸ 추가 (대상 근무자 목록)
<근무자 선택> 화면이 나타나며, 대상 근무자를 체크한 후 [확인]을 클릭하면 체크한 근무자가 대상 근무자로 추가됩니다.
▸ 삭제 (대상 근무자 목록)
선택한 근무자를 대상 근무자 목록에서 제외합니다.
근무표를 자동 생성할 때 기피(배제)해야 할 근무 패턴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근무표 정보 – 기피 패턴 설정] 메뉴를 클릭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패턴 외에 사용자가 원하는 기피 패턴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 항목 설명
파트 |
기피 패턴을 설정할 파트 |
사용 여부 |
기피 패턴을 근무표 생성시 고려할지 여부 설정 |
기피 패턴 |
기피 패턴이 표시됩니다. 편집 버튼( |
설명 |
기피 패턴 설명 |
가중치 |
기피 패턴의 가중치 가중치가 200% 이상인 기피 패턴이 근무표에 배정될 경우 [근무표 결과 - 근무표 확인]에서 알림으로 표시됩니다. |
패턴 구분 |
기피 패턴을 시스템, 병원, 사용자로 구분합니다. 시스템 : 프로그램에서 정한 기피 패턴 병원 : 병원에서 등록한 기피 패턴 사용자 : 사용자가 입력한 기피 패턴 |
□ 기능 설명
▸ 위로
기피 패턴을 선택 후 [위로]를 클릭하면 선택한 기피 패턴의 순서가 위로 올라합니다.
▸ 아래로
기피 패턴을 선택 후 [아래로]를 클릭하면 선택한 기피 패턴의 순서가 아래로 내려갑니다.
▸ 병원 패턴 가져오기
병원에 등록된 기피 패턴을 가져오는 화면이 나타납니다.
기피 패턴이 등록된 병원일 때 [병원 패턴 가져오기]가 표시됩니다.
▸ 다른 파트에서 가져오기
다른 파트의 기피 패턴을 가져오는 화면이 나타납니다.
파트가 2개 이상 등록된 경우 [다른 파트에서 가져오기]가 표시됩니다.
▸ 시스템 패턴 초기화
시스템 기피 패턴의 정보가 초기화됩니다.
▸ 추가
<패턴 편집기> 화면이 나타납니다.
▸ 삭제
선택한 기피 패턴을 삭제합니다.
기피 패턴 설정 마우스 우클릭 메뉴는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 선택 패턴 사용 일괄 적용
선택한 패턴의 사용 여부를 체크 상태로 적용합니다.
▸ 선택 패턴 미사용 일괄 적용
선택한 패턴의 사용 여부를 체크 해제 상태로 적용합니다.
▸ 선택 패턴 가중치 일괄 적용
선택 패턴의 가중치를 일괄로 적용하는 화면이 나타납니다.
기피해야 할 근무 패턴을 설정하는 화면입니다.
<기피 패턴 설정> 화면의 [추가]를 클릭하면 <패턴 편집기> 화면이 나타납니다.
|
기피 패턴 정의 방법 |
|
|
|
|
기피 패턴을 정의할 때 다음 사항을 유의해야 합니다. ▸ 패턴은 콤마(,)로 구분합니다. ▸ 여러 근무코드가 가능한 패턴인 경우 ‘또는’ 기호(|)을 사용합니다. ▸ 예) ‘D,ac|ab’는 D,ac 또는 D,ab를 뜻합니다. ▸ 물결표(~)가 포함되면 해당 패턴 요소의 근무코드를 제외한 모든 근무코드를 의미합니다. ▸ 별표(*)는 모든 근무코드를 의미합니다. ▸ [W]는 근무유형이 ‘Off’, ‘Off like’가 아닌 근무 코드입니다. ▸ [O]는 근무유형이 ‘Off’ 또는 ‘Off like’인 근무 코드입니다. ▸ [D]는 Day인 근무 코드입니다. (근무 유형이 Day, Day like, DayEvening인 근무 코드) ▸ [M]은 Mid인 근무 코드입니다. (근무 유형이 Mid, Mid like인 근무 코드) ▸ [E]는 Evening인 근무 코드입니다. (근무 유형이 Evening, Evening like, DayEvening, EveningNight인 근무 코드) ▸ [N]은 Night인 근무 코드입니다. (근무 유형이 Night, Night like, EveningNight인 근무 코드) ▸ 별표(*)와 물결표(~)는 함께 입력할 수 없습니다. ▸ 물결표(~)는 첫번째 근무코드에 입력해야 합니다. |
아래와 같이 여러 근무코드를 한번에 입력할 수 있습니다.
근무코드 목록에서 여러 근무코드를 선택한 후 우클릭을 하면 [선택 코드 일괄 추가] 메뉴가 나타나며, 클릭하면 선택한 모든 근무코드가 ‘또는’ 기호(|)와 함께 일괄 입력됩니다.
근무표는 월 단위로 작성하는 데, 중간에 근무자의 전담 근무 변경이 필요한 경우 구간을 나눠 전담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구간은 2개로만 구분 가능합니다.
[근무표 정보 – 구간 설정] 메뉴를 클릭합니다.
구간 설정을 통해 월 근무표를 2개의 구간으로 나눌 수 있으며, 근무자에게 구간별 전담을 설정할 수 있고, 설정한 근무자에 한해 구간별 Night 및 Off 수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 항목 설명
1구간 종료일자 |
1구간의 종료일자를 설정 종료일자를 수정하면 적용 구간이 1구간 종료일자 하단에 표시되고 ‘말일’로 설정할 경우 근무표 시작달의 마지막 날이 적용됨. |
구간별 근무자별 근무 수 설정 |
<구간별 근무자별 근무 수 설정> 화면 |
기준월 |
구간 설정을 적용할 기준월 |
파트 |
구간 설정을 적용할 파트 |
순번 |
근무자의 순번 |
숙련도 |
근무자의 숙련도 |
팀 |
근무자 소속팀 |
이름 |
근무자 이름 |
전월 구간별 전담 가져오기 |
전월에 정의한 구간별 전담 정보를 기준월로 가져옴 |
D전담 |
구간별 D전담 |
E전담 |
구간별 E전담 |
N전담 |
구간별 N전담 |
D,E전담 |
구간별 D,E전담 |
D,N전담 |
구간별 D,N전담 |
E,N전담 |
구간별 E,N전담 |
없음 |
구간별 3교대 근무 |
□ 기능 설명
▸ 구간별 전담 설정
근무자를 근무자 목록 영역에서 구간별 전담 영역으로 Drag & Drop 하면 구간별 전담이 설정됩니다.
▸ 구간별 전담 설정 취소
근무자를 구간별 전담 영역에서 근무자 목록 영역으로 Drag & Drop 하면 구간별 전담 설정이 취소됩니다.
구간별 전담을 설정한 근무자의 경우, [근무표 정보 - 근무표 설정]에서 전담이 ‘[1구간 전담] ➧ [2구간 전담]’ 으로 표시됩니다.
[근무자 정보 – 근무자]에서 구간별 전담을 설정한 근무자의 경우 전담 우측 상단에 붉은색 세모 모양이 표시되며, 마우스 포인터를 전담 위에 위치시킬 경우 구간별 전담이 년월별로 표시됩니다.
구간별 전담을 설정한 근무자에 한해 구간별 Night, Off 근무수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구간 설정> 화면 우측 상단의 [구간별 근무자별 근무 수 설정]을 클릭하면 화면이 나타납니다.
화면에는 구간별 전담을 설정한 근무자만 표시되며, 나이트 근무가 가능한 전담이 설정된 구간에 대해서 Night 근무수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구간별 전담이 N전담인 경우 N전담의 근무코드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구간별 Night, Off 근무수는 필요한 경우에만 입력하며, 입력하지 않은 경우 [근무표 정보 - 근무표 설정]에서 입력한 근무자별 근무 수가 구간별로 자동으로 배정됩니다.
근무표 생성 기준과 근무표 생성 고려 사항에 대한 가중치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근무표 정보 – 근무표 옵션] 메뉴를 클릭
□ 항목 설명
▸ 기본 조건
- 슬리핑 오프 적용 나이트수 [ ] : 슬리핑 오프를 적용하면 한달동안 나이트 근무일수가 특정수 이상일 경우 슬리핑 오프를 부여합니다.
예) 슬리핑 오프 적용 나이트 수가 8이고 나이트 근무가 10일인 경우 슬리핑 오프 1개 부여
구분 |
설명 |
기본값(%) |
조정값(%) |
일자별 근무수 충족 |
입력한 일자별 D,E,N 근무수와 일치하도록 근무를 부여하기 위한 가중치 |
250 |
50 |
연속 최대 오프수 [ ] 초과 배제 |
입력된 연속 최대 오프 수 이하로 연속 오프를 배정하기 위한 가중치 |
100 |
100 |
휴일 오프 균등 배정 |
근무자의 휴일 오프를 골고루 배정하기 위한 가중치 |
10 |
20 |
퐁당퐁당 근무 배제 |
3일 이상으로 연속된 근무를 부여하기 위한 가중치 |
50 |
50 |
▸ 숙련도 조건
- 숙련도별 최소 []명 이상으로 근무 배정 : 팀이 정의되지 않은 경우 표시되며, 체크한 근무에 대해 숙련도별로 []명 이상으로 근무를 배정합니다. 대상 인원이 5명 이상인 경우에만 적용되며, 근무자별 근무 수 합에 따라 최대 []명까지 조건으로 적용될 수도 있습니다.
- 팀별 최소 []명 이상으로 근무 배정 : 팀이 정의된 경우 표시되며, 체크한 근무에 대해 팀별로 []명 이상으로 근무를 배정합니다. 대상 인원이 5명 이상인 경우에만 적용되며, 근무자별 근무 수 합에 따라 최대 []명까지 조건으로 적용될 수도 있습니다.
구분 |
설명 |
기본값(%) |
조정값(%) |
차지 근무자 근무 배정 |
병동/팀 차지 근무자를 포함하여 근무를 부여하기 위한 가중치 |
200 |
100 |
숙련도별 근무자 배정 |
숙련도별 근무자를 골고루 배정하기 위한 가중치 |
100 |
100 |
팀별 근무자 배정 |
팀별 근무자를 골고루 배정하기 위한 가중치 |
100 |
100 |
프리셉터 동일 근무 반영 |
프리셉터 – 프리셉티가 동일한 근무를 수행하기 위한 가중치 |
100 |
100 |
▸ 나이트 조건
- 전월에 이어서 나이트 배치 : 전월에 이어서 나이트 배치 옵션을 체크하지 않을 경우 전월 말일에 나이트 근무를 했다면 이번 달 1일에는 나이트 근무를 배정하지 않으며, 말일에 나이트 1개가 나오는 경우를 가능한 배제합니다.
구분 |
설명 |
기본값(%) |
조정값(%) |
[] 연속 나이트 후 []일 휴식 보장 |
[] 연속 나이트 근무 후 충분한 휴식을 제공하기 위한 가중치 |
1 |
50 |
연속 나이트 배정 |
나이트를 2~3개 정도로 연속하여 배정하기 위한 가중치 |
100 |
100 |
최소 나이트 간격 유지 |
근무자별 최소 나이트간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가중치 (최소 N 간격은 [근무자 정보 – 근무자]에서 설정) |
100 |
100 |
▸ 근무수 조건
구분 |
설명 |
기본값(%) |
조정값(%) |
근무자별 나이트 수 일치 |
근무자에게 부여한 나이트 수와 일치하도록 근무를 부여하기 위한 가중치 |
100 |
100 |
근무자별 오프 수 일치 |
근무자에게 부여한 오프 수와 일치하도록 근무를 부여하기 위한 가중치 |
100 |
100 |
근무자별 미드 수 일치 |
근무자에게 부여한 미드 수와 일치하도록 근무를 부여하기 위한 가중치 |
100 |
100 |
근무자별 데이/이브닝 수 일치 |
근무자에게 부여한 데이 및 이브닝 수와 일치하도록 근무를 부여하기 위한 가중치 |
10 |
20 |
▸ 남는 근무 우선 배정 요일
근무표 생성시 일자별 근무자 수보다 많은 인원 배정이 필요한 경우 체크된 요일에 우선적으로 근무를 배정합니다.
[All Check]를 클릭하면 모든 요일이 체크됩니다.
[All Uncheck]를 클릭하면 모든 요일이 체크 해제됩니다.
□ 기능 설명
▸ 저장하기
입력한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우측 상단에 위치한 [저장하기]를 클릭하면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이 나타납니다.
저장 명칭과 설명을 입력한 후 [저장]을 클릭하면 옵션 정보가 저장됩니다.
<근무표 옵션> 화면의 정보는 파트별로 구분하여 저장됩니다.
▸ 불러오기
저장한 옵션 정보를 불러오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근무표 옵션> 화면 우측 상단에 위치한 [불러오기]를 클릭하면 아래 그림과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원하는 정보를 선택한 후 [불러오기]를 클릭하면 저장된 값이 화면에 반영됩니다.
□ 공통 설정 : 모든 파트에 적용되는 조건
▸ 근무표 생성 시작일 : 근무표 생성을 특정일(11일 또는 25일 등)부터 시작하는 경우 근무표 생성 시작일을 변경하시기 바랍니다. 변경하면 기존 근무표의 시작일자도 같이 변경되오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기준월 구분 : 근무표 생성 시작일이 1이 아닌 경우 기준월 구분이 표시됩니다. [근무표 정보 - 근무표 설정], [근무표 결과 - 근무표 확인] 등에서 선택하는 기준월이 근무표의 시작일을 기준으로 할지 근무표의 종료일을 기준으로 할지 선택합니다.
▸ 근무간 최소 휴식 시간 : [기초 정보 – 근무코드]의 시작시간, 종료시간과 [근무표 정보 - 근무표 옵션]의 근무간 최소 휴식 시간을 고려하여 전날/다음날 가능한 근무가 결정됩니다.
▸ 월별 근무자/관계 설정/근무 조건 : 체크하면 근무자 정보와 관계 설정 정보를 월별로 정의할 수 있게 됩니다.
▸ 신청 오프 전날 나이트 배제 : 체크하면 신청 오프(근무유형이 ‘Off’ 또는 ‘Off like’인 근무) 전날 나이트 근무가 배제됩니다.
▸ 신청 나이트 전날 나이트 배제 : 체크하면 신청 나이트(근무유형이 ‘Night’ 또는 ‘Night like’인 근무) 전날 나이트 근무가 배제됩니다.
□ 파트별 조건 : 파트별로 적용되는 조건
가중치는 0 ~ 500% 사이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가중치가 높을수록 강하게 반영합니다.
▸ 가중치는 기본으로 제공하는 값을 적용하되 필요시 병동 상황에 따라 조정할 수 있습니다.
- 해당 항목이 필요 없을 경우 0%로 설정
- 해당 항목이 반영이 잘 안 될 경우 조정값(약 100%) 만큼 증가시켜 근무표를 생성해 보세요.
- 여러 항목을 500%로 가까이 설정하여 근무표를 생성하면 오히려 결과가 나빠집니다.
- 매월 기준 오프수와 신청 오프의 내용이 다르기 때문에 매월 가중치 초기화 후 조정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그리고 가장 중점적으로 반영되었으면 하는 항목 1~2개 정도만 조정하시는 게 효과적입니다.
근무표 결과를 확인하는 [근무표 확인] 메뉴가 있습니다.
근무표 결과를 확인, 수정, 확정, 공유, 인쇄할 수 있고 근무표 생성을 위해 입력했던 정보 중 기피 패턴, 차지 근무자, 관계, 근무 조건 만족 여부를 확인하는 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근무표 결과 – 근무표 확인] 메뉴를 클릭
<근무표 확인>은 생성된 근무표 가져오기, 근무표 조회 등 근무표 확인과 관련된 기능을 제공합니다.
□ 항목 설명
기준월 |
근무표 조회 기준월 |
파트 |
근무표 조회 대상 파트 전체 파트를 보려면 전체 파트 보기를 선택합니다. |
확정 |
확정된 근무표는 체크되어 표시 |
공유 |
공유된 근무표는 체크되어 표시 |
구분 |
N 근무 생성, 근무표 생성 구분 |
파트 |
근무표 파트 |
작업요청일시 |
근무표 생성 요청일시 |
작업상태 |
근무표 생성 작업상태 ▸ 대기중 : 서버에 근무표 생성을 요청한 상태 마우스 포인터를 작업상태에 위치시킬 경우 대기순번이 표시 ▸ 진행중 : 서버에서 근무표를 생성 중인 상태 진행률이 바 형태로 표시되며, 마우스 포인터를 작업상태에 위치시킬 경우 근무표 생성까지 남은 예상 시간이 표시 ▸ 가져오기 : 근무표 생성이 완료되어 근무표 가져오기가 가능한 상태 ▸ 조회 : 근무표를 서버에서 가져온 상태 ▸ 오류 : 서버에서 근무표를 생성하다가 오류가 발생한 상태 마우스 포인터를 작업상태에 위치시킬 경우 오류 사항이 표시 |
메모 |
근무표에 대한 메모 |
□ 기능 설명
▸ 새로고침
좌측 근무표 목록 정보를 갱신합니다.
▸ 삭제
좌측 근무표 목록에서 삭제할 근무표를 선택한 뒤 목록 상단에 [삭제]를 클릭합니다.
<확인> 창에서 [예]를 클릭하면 근무표를 삭제합니다.
▸ 가져오기
서버에서 근무표 생성이 완료되면 작업상태가 [가져오기]로 변경됩니다. [가져오기]를 클릭하면 서버에서 생성한 근무표 정보를 가져옵니다.
근무표 결과에서 우측에는 근무자별, 하단에는 일자별 D, E, N, / 합계가 표시됩니다. 입력된 값보다 작은 경우 붉은색, 큰 경우 초록색으로 표시됩니다.
▸ 표시 구분 - 근무 코드 색상 표시
표시 구분을 근무 코드 생상 표시로 선택하면 [기초 정보 – 근무코드]에서 설정한 색상으로 근무코드의 배경색을 표시합니다.
▸ 표시 구분 - 휴일 음영 표시
표시 구분을 휴일 음영 표시로 선택하면 휴일은 회색으로 평일은 흰색으로 표시됩니다.
▸ 사용자 색상 표시
특정 셀의 배경색을 다르게 설정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합니다.
표시 구분을 ‘사용자 색상 표시’로 선택하면 [색 초기화],[색 채우기()]가 표시됩니다.
[색 초기화]를 클릭하면 기존에 채워진 색이 사라지며, ‘휴일 음영 표시’와 동일한 색으로 셀을 채우게 됩니다.
셀을 선택하고 [색 채우기]를 클릭하면 선택한 셀의 배경색이 변경됩니다.
▸ Wanted 편집 허용
근무표 수정시 신청 근무(별표*가 포함된 근무)를 수정하려면 상단 Wanted 편집 허용을 체크해야 합니다.
▸ 사용자 입력 표시
[근무표 정보 - 근무표 설정]에서 지정한 근무는 셀 오른쪽 상단에 파란색 세모가 표시됩니다.
근무를 수정하면 셀 왼쪽 하단에 빨간색 세모가 표시됩니다.
사용자 입력 표시를 체크 해제하면 빨간색 및 파란색 세모 표시가 사라집니다.
▸ 월 근무시간 표시
체크하면 아래와 같이 근무표 우측에 근무시간이 표시됩니다.
[기초 정보 – 근무코드]에서 입력한 근무코드별 근무시간을 기준으로 합니다.
▸ 근무별 합계 표시
근무표 하단 합계 표시를 숙련도 및 팀을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습니다.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근무, 숙련도, 팀을 선택하는 화면이 나타납니다.
오버 멤버 제외를 체크하면 하단 합계에 오버 멤버를 제외하여 표시합니다.
색상 표시를 체크하면 하단 합계에서 선택된 값의 대상 근무가 강조됩니다.
▸ 근무 별칭으로 조회
[기초 정보 – 근무코드]에서 별칭을 입력한 경우 표시됩니다.
클릭하면 근무 별칭으로 근무표를 조회하는 화면이 나옵니다.
▸ 근무표 인쇄
선택된 근무표를 인쇄하는 화면이 나옵니다.
▸ 확정 근무표 인쇄
확정된 모든 파트의 근무표를 한 번에 인쇄하는 화면이 나옵니다.
▸ 확정 / 확정 취소
선택된 근무표를 확정하거나 확정 취소합니다.
확정된 근무표는 다음달 근무표 작성시 전월 근무표로 처리됩니다.
▸ 공유 / 공유 취소
선택된 근무표를 공유하거나 공유 취소합니다.
공유된 근무표는 AutoSchedule365 사이트에서 조회할 수 있습니다.
▸ N 근무 적용
근무표 생성 구분이 “N 근무 생성”인 경우 표시됩니다.
[N 근무 적용]을 클릭하면 생성한 Night 근무를 [근무표 정보 - 근무표 설정]에 지정 근무로 일괄 등록합니다.
마우스 우클릭 메뉴는 아래와 같습니다.
▸ 모든 열 너비 자동조절
근무표의 모든 열의 너비를 자동으로 알맞게 조정해 줍니다.
▸ 표시/숨기기
체크된 항목이 화면에 표시됩니다.
▸ 열 제목 포함 복사
열 제목을 포함하여 근무표 내용을 복사합니다.
▸ 일괄 변경
근무표의 근무코드를 일괄로 변경하려면 일괄 변경 기능을 사용합니다.
클릭하면 <일괄 변경> 화면이 나타납니다.
[모두 바꾸기]를 클릭하면 변경 전 근무가 변경 후 근무로 모두 바뀝니다. 자동 바꾸기를 체크할 경우 서버에서 근무표 정보를 가져올 때마다 자동으로 바뀌어 표시됩니다.
▸ 선택 영역 일괄 변경
근무표의 특정 영역 근무코드를 일괄로 변경할 때 사용합니다.
[선택 영역 일괄 변경]을 클릭,
[모두 바꾸기]를 클릭하면, 선택된 영역의 변경 전 근무가 변경 후 근무로 일괄 변경됩니다.
▸ 되돌리기
변경 내용을 다시 원래대로 되돌립니다.
▸ 다시 실행
되돌리기로 취소했던 동작을 다시 실행합니다.
□ 근무표 수정
생성된 근무표의 내용을 수정하여 저장할 수 있습니다.
엑셀에서 셀 값을 수정하듯이 내용을 수정하면 그대로 저장됩니다.
좌측 근무표 목록의 작업상태에서 []를 클릭하면 생성된 근무표를 다시 가져옵니다. (수정한 내용들이 무시되고 생성된 근무표를 가져옴) 단, 근무표를 공유했다면, 공유한 근무표를 가져옵니다.
□ 복사 후 붙여넣는 방법
복사 및 붙여넣기가 가능합니다.
엑셀이나 한셀과 같은 프로그램의 내용을 복사하여 붙여넣거나 반대로 복사 및 붙여넣기가 가능합니다.
패턴, 차지/관계 조건, 근무 조건을 만족했는지 확인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근무표 확인> 화면 우측 [패턴/조건 보기]를 에 아래 그림과 같은 방법으로 펼칩니다.
□ 패턴 보기
각 패턴의 수와 위치를 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패턴을 확인하는 화면은 아래와 같습니다.
▸ 표시색
기피 패턴을 표시할 색상을 설정합니다.
▸ 패턴 가져오기
[근무표 정보 - 기피 패턴 설정]에서 정의한 기피 패턴을 가져오는 화면이 나옵니다.
▸ 초기값
기피 패턴을 초기값으로 초기화합니다.
패턴 목록은 편집이 가능하며 콤마(,)로 구분하여 입력합니다. [초기값]을 클릭하면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패턴 목록으로 초기화되며 초기 패턴의 목록은 아래와 같습니다.
no. |
패턴 |
▸ 별표(*)는 모든 근무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N,*,D는 가운데 근무에 상관없이 N 근무 2일 후 D 근무인 패턴을 의미합니다. ▸ 물결표(~)는 뒤에 오는 근무를 제외한 근무를 뜻합니다. ▸ [W]는 근무유형이 ‘Off’, ‘Off like’가 아닌 근무코드입니다. ▸ [O]는 근무유형이 ‘Off’ 또는 ‘Off like’인 근무코드입니다. ▸ [D]는 Day인 근무 코드입니다. (근무 유형이 Day, Day like, DayEvening인 근무 코드) ▸ [M]은 Mid인 근무 코드입니다. (근무 유형이 Mid, Mid like인 근무 코드) ▸ [E]는 Evening인 근무 코드입니다. (근무 유형이 Evening, Evening like, DayEvening, EveningNight인 근무 코드) ▸ [N]은 Night인 근무 코드입니다. (근무 유형이 Night, Night like, EveningNight인 근무 코드) |
1 |
[N],*,[D] |
|
2 |
[N],*,[M] |
|
3 |
[N],~[N],[N] |
|
4 |
[N],*,[E] |
|
5 |
[N],[N],[O],[O],[D] |
|
6 |
[E],[O],[D] |
|
7 |
[N],[D] |
|
8 |
[E],[D] |
|
9 |
[N],[E] |
|
10 |
~[N],[N],[O] |
|
11 |
[D],[D],[D],[D],[D] |
|
12 |
[D],[D],[D],[D] |
|
13 |
[E],[E],[E],[E],[E] |
|
14 |
[E],[E],[E],[E] |
|
15 |
[W],[W],[W],[W],[W] |
|
|
|
▸ 추가
<패턴 편집기> 화면이 나타납니다.
▸ 삭제
선택한 패턴을 삭제합니다.
▸ 기피 패턴 선택
기피 패턴을 선택하면 해당 패턴이 표시색으로 강조되고, 일치하는 패턴의 수가 하단에 표시됩니다.
□ 차지/관계 조건 보기
차지 근무자 배정, 관계 설정, [근무표 정보 - 근무표 옵션]의 ‘팀(숙련도) 별 최소 n명 이상’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한 건수와 근무표의 해당 위치를 강조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차지/ 관계 조건 탭을 선택합니다.
차지/ 관계 조건 보기에서 확인할 수 있는 조건은 3가지이며, 아래와 같이 표시됩니다.
▸ 차지 확인
차지 조건은 ‘차지 근무자 미배정’, ‘차지 근무자 2명 이상 배정’, ‘차지 근무자 1명 배정’에 대해 근무표에 색상을 표시하고 화면 우측 하단에 건수를 표시합니다.
▸ 관계 확인
관계 조건은 [근무자 정보 - 관계 설정]에서 정의한 ‘협력 관계’, ‘배제 관계’, ‘제약 관계’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제약 관계’의 경우 최소/최대 조건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각 관계에 따라 아래와 같이 표시됩니다.
- 협력 관계
협력 관계는 ‘협력 근무자 동일 근무 미배정’ 대상 근무자에 대해 근무표에 색상을 표시하고 화면 우측 하단에 건수를 표시합니다.
- 배제 관계
배제 관계는 ‘배제 근무자 동일 근무 배정’ 대상 근무자에 대해 근무표에 색상을 표시하고 화면 우측 하단에 건수를 표시합니다.
- 제약 관계
제약 관계는 ‘대상 근무자 x명 미만 배정’, ‘대상 근무자 y명 초과 배정’에 대해 근무표에 색상을 표시하고 화면 우측 하단에 건수를 표시합니다. x는 최소 조건 인원, y는 최대 조건 인원을 뜻하며, 조건이 체크된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 ‘팀(숙련도) 별 최소 x명 이상’ 확인
‘팀(숙련도) 별 최소 x명 이상’ 조건은 [근무표 정보 - 근무표 옵션]에서 ‘팀(숙련도) 별 최소 []명 이상으로 근무 배정’을 체크한 경우 조건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상 근무자 x명 미만 배정’에 대해 근무표에 색상을 표시하고 화면 우측 하단에 건수를 표시합니다. 단, 근무자별 근무 수 합이 충분하지 못한 경우 ‘대상 근무자 x명 이상 배정’에 대해 표시합니다.
□ 근무 조건 보기
[근무표 정보 - 근무 조건 설정]에서 설정한 근무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한 건수와 근무표의 해당 위치를 색으로 강조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근무 조건 탭을 선택합니다.
근무 조건 보기에서 확인할 수 있는 조건은 3가지이며, 아래와 같이 표시됩니다.
▸ ‘주 52시간 이하 근무 제약’ 확인
[근무표 정보 - 근무 조건 설정]에서 설정한 조건을 기준으로 주 근무시간이 52시간 초과인 경우 근무표에 색상을 표시하고 화면 우측 하단에 건수를 표시합니다.
▸ ‘주 40시간 이상 근무 제약’ 확인
[근무표 정보 - 근무 조건 설정]에서 설정한 조건을 기준으로 주 근무시간이 40시간 미만인 경우 근무표에 색상을 표시하고 화면 우측 하단에 건수를 표시합니다.
▸ 사용자 근무 조건 확인
[근무표 정보 - 근무 조건 설정]에서 설정한 사용자 근무 조건이 표시됩니다.
근무 조건을 선택하면 해당하는 근무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한 날짜와 근무자에 색상을 강조하고, 화면 우측 하단에 건수를 표시합니다.
근무 조건 미만은 붉은색, 근무 조건 초과는 초록색, 문제가 되는 날짜는 진하게 표시합니다.
[기초 정보 – 근무코드]에서 정의한 코드별칭으로 근무표를 조회하려면 화면 우측 상단의 [근무 별칭으로 조회]를 클릭합니다.
근무표 결과를 인쇄하려면 화면 우측 상단의 [근무표 인쇄]를 클릭합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인쇄 미리보기> 화면이 나타납니다.
근무표 결과를 프린터로 인쇄하거나 PDF, 엑셀, Word 파일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
참고 |
|
|
|
|
근무표를 엑셀로 내보낼 경우 결재란, 작업 요청 일시 및 출력 일시는 내보내지 않습니다. |
□ 공지사항 출력
근무표를 인쇄할 때 해당 월에 입력한 공지사항을 함께 출력할 수 있습니다.
<인쇄 미리보기> 화면 상단에 [공지사항 출력]을 클릭하면 근무표 하단에 해당 월의 공지사항이 함께 출력됩니다.
□ 전월 근무 출력
근무표를 인쇄할 때 전월 근무를 함께 출력할 수 있습니다.
<인쇄 미리보기> 화면 상단에 [전월 근무 출력]을 클릭하면 전월 근무가 함께 출력됩니다.
□ 결재란 출력
근무표를 인쇄할 때 결재란을 함께 출력할 수 있습니다.
<인쇄 미리보기> 화면 상단의 [결재란 출력] 드롭다운 메뉴 하위 메뉴인 [결재란 출력 사용] 메뉴를 체크하면 결재란이 함께 출력됩니다.
결재란 양식을 변경하려면 [결재란 출력] 드롭다운 메뉴 하위 메뉴인 [결재란 출력 설정] 메뉴를 클릭합니다.
<결재란 표시 설정> 화면은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결재란 수는 최대 4개까지 설정할 수 있으며, 작성자 위치, 결재란 명칭도 수정할 수 있습니다.
□ 팀 구분 출력
근무표를 인쇄할 때 팀이 입력된 경우 팀을 색상으로 구분하여 출력할 수 있습니다.
<인쇄 미리보기> 화면 상단의 [팀 구분 출력] 드롭다운 메뉴 하위 메뉴인 [팀 구분 출력 사용] 메뉴를 체크하면 팀별로 근무자 이름을 다른 색상으로 출력합니다.
팀 구분 색상을 변경하려면 [팀 구분 출력 설정] 메뉴를 클릭합니다.
<팀 구분 표시 설정> 화면이 나타납니다.
팀 구분 음영 설정을 연하게 또는 진하게 조정하면 [미리 보기]에 색이 바로 변경되고 [적용]을 클릭하면 설정한 대로 출력됩니다.
확정된 모든 파트의 근무표를 한번에 인쇄하려면 [확정 근무표 인쇄]를 클릭
아래 그림과 같이 확정된 모든 파트의 근무표를 인쇄할 수 있습니다.
[인쇄]를 클릭하면 <인쇄 미리보기> 화면이 나타납니다.
근무표 결과를 프린트로 인쇄하거나 PDF, 엑셀, Word 파일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EMR 시스템과 연동되는 병원은 화면에 [EMR로 근무표 전송] 메뉴가 표시됩니다.
[EMR로 근무표 전송] 기능을 이용하여 병원정보시스템으로 근무표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
참고 |
|
|
|
|
하나의 병동 근무표를 여러 파트로 나누어 생성한 경우, 같은 병동의 근무표를 모두 선택한 상태에서 EMR로 근무표 전송 메뉴를 클릭해야 병동 근무표가 정상적으로 병원정보시스템으로 전송됩니다. |
□ 로그인이 필요한 경우
[예]를 클릭하면 EMR <로그인> 화면이 나타납니다.
EMR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접속]을 클릭하면 확정된 근무표가 EMR로 전송됩니다.
□ 로그인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확정된 근무표가 EMR로 전송됩니다.
기준월의 근무표를 확정하려면 좌측 근무표 목록에서 확정할 근무표를 선택한 뒤 우측 상단에 위치한 [확정]을 클릭합니다.
근무표가 확정되면 아래 그림과 같은 메시지가 나타납니다.
확정된 근무표는 다음달 근무표 작성시 전월 근무표로 사용됩니다.
동일한 파트에 이미 확정된 근무표가 있는 상태에서 추가로 확정한 경우 이전에 확정한 근무표는 확정 취소됩니다. 근무표 목록에서 동일한 파트를 여러 개 선택하여 확정할 수는 없습니다.
□ 확정 근무표 EMR로 내보내기
EMR 시스템과 연동되는 병원은 근무표를 확정하면 아래와 같은 메시지가 나타납니다.
[EMR로 근무표 전송]과 동일한 기능입니다.
기준월의 근무표를 공유하려면 좌측 근무표 목록에서 공유할 근무표를 선택한 뒤 우측 상단에 위치한 [공유]를 클릭합니다.
근무표가 공유되면 아래 그림과 같은 메시지가 나타납니다.
공유된 근무표는 AutoSchedule365 사이트를 통해 근무자에게 공유됩니다.
동일한 파트에 이미 공유된 근무표가 있는 상태에서 추가로 공유한 경우 이전에 공유한 근무표는 공유 취소됩니다. 근무표 목록에서 동일한 파트를 여러 개 선택하여 공유할 수는 없습니다.
교대제 스크리닝 기능을 사용하는 병원의 경우 우측 상단에 [교대제 스크리닝]이 표시됩니다.
[교대제 스크리닝]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우측 스크리닝 항목을 선택하면 근무표의 해당 근무 패턴을 색으로 강조합니다.
근무표 상단에 있는 근무코드를 선택 후 근무표의 셀을 선택하면 선택한 값으로 변경됩니다.
신청 근무 관리를 위한 [신청 근무 접수], [신청 제한], [계정 연결] 메뉴가 있습니다.
신청 근무를 접수 및 마감 상태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신청 근무가 접수 상태일 때 병동 소속 근무자들이 근무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 근무 관리 – 신청 근무 접수] 메뉴를 클릭
근무 신청 상태를 확인하고, 일괄 접수/마감 처리할 수 있습니다.
□ 항목 설명
근무 신청 익명 처리 |
체크하면 AutoSchdule365 사이트 <근무신청> 화면에서 신청자의 이름이 익명으로 표시 |
||||
기준월 |
기준월 표시 |
||||
파트 |
파트 표시 |
||||
시작일시 |
신청 근무 접수 시작일시 입력 |
||||
종료일시 |
신청 근무 접수 종료일시 입력 |
||||
상태 |
신청 근무 접수 상태 설정
|
□ 기능 설명
▸ 일괄 추가
[일괄 추가]를 클릭하면 아래 화면이 나타납니다.
▸ 추가
[추가]를 클릭하면 아래 화면이 나타납니다.
▸ 삭제
선택한 신청 근무 접수 정보를 삭제합니다.
▸ 메모/공지사항
메모/공지사항 항목의 를 클릭하면 해당 월의 <메모장> 화면이 나타납니다.
메모장은 월별로 관리되며 메모나 근무자에게 전달할 공지사항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공지 내용은 AutoSchedule365 사이트의 <근무신청> 화면에 표시됩니다.
▸ 근무 신청 제한
근무 신청 제한 항목의 를 클릭하면 해당 월의 <신청 제한> 화면이 나타납니다.
▸ 적용
설정한 정보를 적용하고, 화면을 닫습니다.
▸ 닫기
설정한 정보를 적용하지 않고, 화면을 닫습니다.
일자별, 근무자별로 근무 신청 수를 제한할 수 있습니다.
[신청 근무 관리 – 신청 제한] 메뉴를 클릭
일자별 신청 제한 수와 근무자별 신청 제한 수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일자별 신청 제한은 일자별 근무 신청 최대값을 의미하고, 근무자별 신청 제한은 근무자별 월 기준 근무 신청 최대값을 의미합니다. 신청 제한은 ‘Off’와 ‘Off 외’로 구분합니다.
|
참고 |
|
|
|
|
Off : [기초 정보 – 근무코드]에서 신청제한(Off)이 체크된 근무코드 Off 외 : [기초 정보 – 근무코드]에사 신청제한(Off)이 체크되지 않은 근무코드 |
일자별 신청 제한 수를 일괄 입력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일자별 신청 제한 우측 [자동 채우기]를 클릭하면 주중과 토요일, 일요일(공휴일)별로 신청 제한 수를 일괄 입력하는 창이 나타납니다.
주중과 토요일, 일요일(공휴일)에 신청 제한 수를 입력하고 [채우기]를 클릭하면 일자별 신청 제한 수가 일괄 입력됩니다.
근무자별 신청 제한 수를 일괄 입력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근무자별 신청 제한 우측 [자동 채우기]를 클릭하면 ‘Off’, ‘Off 외’ 신청 제한 수를 일괄 입력하는 창이 나타납니다.
‘Off’, ‘Off 외’ 신청 제한 수를 입력하고 [채우기]를 클릭하면 모든 근무자의 신청 제한 수가 일괄 입력됩니다.
수간호사를 선택하여 회원 가입한 근무자를 승인하는 화면입니다.
[신청 근무 관리 – 계정 연결] 메뉴를 클릭
AutoSchedule365 회원과 근무자를 연결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 항목 설명
파트 |
파트 선택 |
순번 |
근무자 순서 |
숙련도 |
전문가, 숙련가, 초보자로 구분 |
팀 |
입력값이 동일할 경우 같은 팀으로 처리 |
이름 |
근무자 이름 |
성별 |
근무자 남/여 구분 |
근무자 아이디 (이름) |
AutoSchedule365에 회원 가입한 이름 |
근무자 아이디 (이메일) |
AutoSchedule365에 회원 가입한 이메일 |
근무자 아이디 (계정 연결) |
AutoSchedule365 계정과 연동된 경우 |
□ 기능 설명
▸ 승인해제
AutoSchedule365 사용자 연결 정보를 해제합니다.
근무자가 퇴사했거나 연결을 잘못한 경우에는 승인을 해제합니다.
근무자를 선택하고 [승인 해제]를 클릭하면 이메일이 사라지며 해당 계정은 미승인 근무자 목록에 표시됩니다.
▸ 근무자 자동 연결
근무자 자동 연결은 AutoSchedule365 계정과 메이트런 내 동일한 근무자의 정보를 자동 연결시키는 기능입니다.
[근무자 자동 연결]을 클릭합니다.
아래와 같이 동일 이름으로 자동 연결된 상태로 <근무자 자동 연결> 화면이 나타납니다.
자동 연결하려면 화면 하단의 [적용]을 클릭합니다.
▸ 승인
승인은 AutoSchedule365 회원과 근무자를 연결시키는 과정입니다. 미승인 근무자 목록에 미승인 근무자가 표시됩니다. 병동의 근무자일 경우 [승인]을 클릭하여 근무자 정보를 연결합니다.
[승인]을 클릭하면 근무자와 AutoSchedule365 사용자를 연결하는 <근무자 목록> 화면이 나타납니다.
상태가 로 표시된 근무자 중 연결할 근무자를 선택하여 [적용]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이메일이 표시됩니다. (이미 연결된 근무자는 상태가
로 표시되며 선택할 수 없습니다.)
연결된 근무자의 이름과 AutoSchedule365 회원 이름이 다를 경우 근무자 아이디(이름)의 배경색이 빨간색으로 표시됩니다.
근무자 아이디(이름)을 클릭하면 아래 메시지 창이 나타납니다.
예를 선택하면 빨간 배경색이 사라지고, 아니오를 선택하면 연결이 해제됩니다.
|
참고 |
|
|
|
|
근무자 아이디(이름)이 빨간 배경색으로 표시되는 경우, 오류가 있다고 판단하여 근무표를 생성하지 않습니다. 연결을 확인 또는 해제하여 오류를 제거하세요. |
AutoSchedule365 사이트 계정과 연동된 근무자는 AutoSchedule365 사이트에서 공유된 근무표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 승인거부
AutoSchedule365 사용자를 승인거부합니다.
소속 근무자가 아닌 계정이 미승인 근무자 목록에 표시될 경우 [승인거부]를 클릭합니다.
확인 메시지 창이 나타나고 [예]를 선택하면 해당 계정이 삭제됩니다.
▸ 적용
설정한 정보를 적용하고, 화면을 닫습니다.
▸ 닫기
설정한 정보를 적용하지 않고, 화면을 닫습니다.
수간호사가 병동 권한 요청으로 2개 이상의 병동에 대해 권한을 가질 수 있습니다. 병동 목록은 이러한 상황을 관리하기 위한 기능입니다.
[병동 관리 – 병동 목록] 메뉴를 클릭
□ 항목 설명
순번 |
병동 순서 |
대표 병동 |
메이트런(Matron) 프로그램은 대표병동에 대해서만 근무표 생성 가능 대표 병동은 |
병동 명칭 |
병동의 명칭 |
병동 번호 |
병동의 번호 |
비고 |
병동의 비고 |
병동 상태 |
병동상태는 활성, 휴면 상태가 있으며 활성 상태인 병동만 권한을 넘겨줄 수 있음. |
병동 생성일 |
병동의 생성일자 |
권한 요청 |
병동 권한 요청이 있는 경우 [수락] 버튼 표시됨 |
근무자 수 |
병동에 등록한 근무자 수 |
□ 기능 설명
▸ 대표 병동 변경
병동을 선택 후 [대표 병동 변경]을 클릭하면 선택한 병동이 대표 병동으로 변경됩니다.
▸ 위로
병동을 선택 후 [위로]를 클릭하면 선택한 병동의 순서가 위로 올라합니다.
▸ 아래로
병동을 선택 후 [아래로]를 클릭하면 선택한 병동의 순서가 아래로 내려갑니다.
▸ 추가
병동을 새로 추가하려면 [추가]를 클릭 후 새로 생성된 행에 값을 입력합니다.
▸ 삭제
병동을 선택 후 [삭제]를 클릭하면 선택한 병동을 삭제합니다.
대표 병동을 삭제할 경우 다른 병동이 대표 병동으로 변경되며, 병동이 하나일 경우 삭제가 불가합니다.
▸ 수락
병동 권한 요청을 받은 경우 [수락]으로 표시됩니다. [수락]을 클릭하면 <병동 권한 요청 수락>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대표 병동을 변경하고 [적용]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메시지 창이 나타나며, 로그아웃됩니다.
다시 로그인을 하면 변경된 대표 병동의 정보로 프로그램이 시작됩니다.
수간호사의 근무 병동이 바뀌는 경우, 새로운 병동의 관리 권한을 인수받기 위한 메뉴입니다.
만약 이전 수간호사님이 autoschedule365 서비스를 사용하셨다면, 기존에 입력된 근무표 생성 관련 모든 정보를 그대로 이어받으실 수 있습니다.
[병동 관리 – 병동 권한 요청] 메뉴를 클릭
□ 항목 설명
병동 명칭 |
병동의 명칭 |
병동 번호 |
병동의 번호 |
별명 |
병동의 담당자(수간호사) 별명 |
담당자명 |
병동의 담당자(수간호사) 이름 |
이메일 |
병동의 담당자(수간호사) 이메일 |
권한 요청 |
병동 권한 요청이 가능한 경우 [권한 요청]이 표시 |
요청 취소 |
병동 권한 요청을 한 경우 [요청 취소]가 표시 |
□ 기능 설명
▸ 권한 요청
병동 권한을 요청하려면 해당 병동의 [권한 요청]을 클릭합니다.
<확인> 창이 나타나고, [예]를 클릭하면 병동 권한 요청이 완료됩니다.
|
참고 |
|
|
|
|
하나의 병동에 대해 여러 명이 동시에 권한 요청할 수 없습니다. [권한 요청]이 보이지 않는 경우는 누군가가 병동 권한을 요청한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
▸ 요청 취소
병동의 권한 요청을 취소하려면 해당 병동의 [요청 취소]를 클릭합니다.
<확인> 창이 나타나고, [예]를 클릭하면 병동 권한 요청이 취소됩니다.
병동 권한을 요청 받은 경우 [병동 권한 요청 수락] 메뉴가 활성화됩니다.
권한요청을 받은 수간호사가 권한요청을 수락해야 권한이 이양됩니다.
[병동 관리 – 병동 권한 요청 수락] 메뉴를 클릭
□ 항목 설명
병동 명칭 |
병동의 명칭 |
병동 번호 |
병동의 번호 |
권한 요청자명 |
병동 권한을 요청한 요청자의 이름 |
권한 요청자 이메일 |
병동 권한을 요청한 요청자의 이메일 |
수락 |
병동 권한을 요청 받은 병동인 경우 [수락] 표시 |
반려 |
병동 권한을 요청 받은 병동인 경우 [반려] 표시 |
□ 기능 설명
▸ 수락
[수락]을 클릭하면 <확인> 창이 나타나고, [예]를 클릭하면 병동 권한 요청이 수락되어 요청자에게 병동 권한이 이양됩니다.
▸ 반려
병동 권한 요청을 반려하려면 해당 병동의 [반려]를 클릭합니다.
<확인> 창이 나타나고, [예]를 클릭하면 병동 권한 요청이 반려됩니다.
[도움말], [프로그램 정보], [멤버십], [AutoSchedule365.com] 메뉴가 있습니다.
[도움말 – 메이트런 도움말] 메뉴를 클릭하면 도움말이 화면에 나타납니다.
[도움말 – 프로그램 정보] 메뉴를 클릭하면 <정보> 화면이 나타납니다.
프로그램 버전, 회원 유형 및 공식 웹사이트 링크 정보를 제공합니다.
[도움말 – 멤버십] 메뉴를 클릭하면 <멤버십> 화면이 나타납니다.
메이트런 프로그램 좌측 하단에 사용자 멤버십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도움말 – AutoSchedule365] 메뉴를 클릭하면 AutoSchedule365.com 화면이 나타납니다.